[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광개토태왕과 불교
상태바
[전륜성왕을 꿈꾼 광개토왕] 광개토태왕과 불교
  • 조경철
  • 승인 2024.03.25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락태왕永樂太王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
일제강점기에 촬영한 광개토태왕릉비. 중국 지린성 집안시에 있는 비석이다. 장수왕이 건립했다. 사진 출처 『조선고적도보』

광개토태왕은 고구려를 대표하는 정복 군주로 많이 알려졌다. 광개토태왕과 불교의 연관성을 연상하기는 쉽지 않다. 광개토태왕릉비에 불교와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서이기도 하다. 그래서 광개토태왕 때 불교가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광개토태왕 때 불교는 생각보다 활발히 전개됐다. 그는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란 교서를 내렸고 평양에 9개의 절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요동(遼東) 지역에 육왕탑(育王塔)을 세웠다. 고구려 사람들은 그를 불교의 전륜성왕(轉輪聖王)에 빗대 성왕(聖王)이라 부르기까지 했다. 또한 능비에 적힌 ‘영락(永樂)’도 불교와 무관하지 않다. 광개토태왕의 연호가 영락이고 광개토태왕을 ‘영락태왕(永樂太王)’이라고 불렀다는 데서 그의 불교적 면모가 남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광개토‘대왕’ 대신 능비에 나오는 용례에 따라 ‘태왕’이란 칭호를 쓴다.

태왕릉(太王陵). 광개토태왕릉비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능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확실치 않으며, 능에서 ‘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이라고 쓰인 바닥돌이 발견됐다. 출처 위키미디어
국내성에 있는 장군총. 광개토태왕릉비와 태왕릉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출처 위키미디어

 

고구려의 불교 수용

고구려에 불교가 들어온 시기는 동아시아의 격동기였다. 중국은 남북으로 나뉘어 있었다. 북쪽에서는 5호 16국으로 갈라져 있던 나라가 전진(前秦)으로 통일돼 가던 시기였다. 고구려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전연(前燕)은 370년 전진에 멸망당했다. 전진이 중국의 북쪽을 통일해 가는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자 고구려는 전진과 새롭게 관계 개선할 필요가 생겼다.

고구려의 국내 사정도 심각했다. 백제와 공방전을 펼치던 고국원왕(재위 331~371)이 371년 10월 23일 백제군의 화살을 맞고 사경을 헤매다 전사했다. 고구려의 왕들 가운데 죽은 날짜를 구체적으로 남긴 왕은 고국원왕이 유일하다. 그만큼 고구려인들에게 고국원왕의 전사는 뼈저린 아픔이었다. 왕위에 오른 소수림왕(재위 371~384)은 무엇보다 아버지의 전사로 침체에 빠진 고구려의 분위기를 일신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소수림왕은 372년 전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고 아버지의 명복을 빌며 위기 상황을 극복해 나갔다.

같은 해 백제는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남쪽의 동진(東晉)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신라도 381년 전진에 사신을 보내 중국의 동향을 살폈다. 북쪽을 통일한 전진은 통일을 이루고자 남쪽의 동진과 싸웠다. 그러나 383년 비수(淝水)의 전투에서 예상을 뒤엎고 참패했다. 이에 백제는 신속하게 384년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자국의 발전과 더불어 국제정세에 관심을 가졌고 그 시기에 고구려와 백제는 불교를 수용했다.

372년 전진에서 순도(順道) 스님이 고구려에 왔고 374년에는 동진에서 아도(阿道) 스님이 왔다. 고구려는 북쪽의 전진은 물론 남쪽의 동진과도 우호 관계를 유지했다. 375년 고구려는 국적이 다른 두 승려를 위해 초문사와 이불란사를 짓고 둘을 각각 머무르게 했다.

글자가 새겨진 벽돌. 태왕릉과 천추총의 무너진 돌무지 속에 기와와 함께 섞여 있었던 것이다. “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 원하옵건대 태왕릉이 산처럼 안전하고 뫼처럼 튼튼하소서)”, “천추만세영고(千秋萬歲永固, 천추만세토록 영원히 튼튼하소서)”, “건곤상필(乾坤相畢, 하늘과 땅이 다할 때까지)” 등으로, 무덤이 오랫동안 보존되기를 기원하는 내용[吉祥句]이다. 태왕릉이나 천추총 위에 세워진 건물에 사용됐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

고구려는 소수림왕 때 불교를 받아들였지만, 고국양왕(재위 384~390, 혹은 391) 때는 이렇다 할 불교 관련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삼국사기』에는 고국양왕 말년인 392년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는 숭신불법구복(崇信佛法求福)이란 교서를 내렸다고 하는데 그대로 믿기 어렵다. 

광개토태왕릉비에 의하면 392년은 광개토태왕이 다스리던 시기다. 광개토태왕이 왕위에 오른 해는 390년 또는 391년이다. 고국양왕이 죽은 해도 390년 또는 391년이 된다. 따라서 392년 ‘숭신불법구복’이란 교서는 고국양왕 때가 아니라 광개토태왕 때로 봐야 한다.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란 뜻의 숭신불법구복 교서는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백성들에게 불법을 믿을 것을 공포한 것이다. 이제 고구려를 부처님의 나라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공식적인 선언인 셈이다. 광개토태왕이 ‘숭신불법구복’이란 교서를 내린 시기는 남쪽의 백제와 일진일퇴 공방전을 벌이고 있던 때이기도 했다.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대응하겠다는 의지이기도 했다.

백제도 뒤지지 않았다. 광개토태왕이 392년 3월 ‘숭신불법구복’이란 교서를 내리자 백제 아신왕도 이에 뒤질세라 같은 해 12월 ‘숭신불법구복’이란 교서를 내렸다. 고구려의 광개토태왕과 백제의 아신왕은 한쪽에서는 전쟁을 하면서 다른 한쪽에서는 불법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혹자는 백제의 ‘숭신불법구복’이란 문구가 고구려와 똑같다는 점과 이 기록이 『삼국사기』에는 보이지 않고 『삼국유사』에 보인다고 하여 믿을 수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여러 기록에 구복(求福), 숭신불법(崇信佛法), □신불법(□信佛法) 등의 용례가 자주 쓰이는 것으로 볼 때 고구려나 백제가 똑같은 교서를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평양에 9개 사찰을 세우다

광개토태왕은 숭신불법구복 교서를 내린 다음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해 나갔다. 당시 절은 압록강 변의 고구려 수도였던 국내성에 초문사와 이불란사가 있었을 뿐 다른 지역에는 세워지지 않았다. 이에 광개토태왕은 393년 평양에 아홉 개의 절을 창건했다. 

일설에 ‘아홉 개 절을 세웠다’를 의미하는 창구사(創九寺)의 ‘구사’를 아홉 개의 절이 아니라 ‘구시’로 읽어 아홉 개의 관청을 세웠다고 보기도 하는데, ‘창(創)’은 일반적으로 절을 창건할 때 쓰이고 관청을 세웠다고 할 때는 보통 ‘치(置)’를 사용한다.

평양 지역은 옛 낙랑 지역으로 고구려에 정식으로 불교가 들어오기 전, 이미 불교가 들어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57년 조성된 안악 3호분의 천장에는 화려한 연꽃이 새겨져 있다.

평양에 세운 아홉 개의 절은 그 구체적인 위치를 알 수 없지만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세웠을 것이다. 중앙에 세운 절을 기준으로 팔방(八方)에 절을 세워, 불법이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세를 취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보인 연가 7년 명 불상의 광배에 보이는 ‘낙랑동사(樂良東寺)’도 평양에 창건한 9개의 절 가운데 하나로 추정된다.

연가 7년 명 불상(국보).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불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이다. 광배 뒷면에 새겨진 글에 따르면, 이 불상은 539년 고구려 평양에 있던 동사(東寺)에서 주지스님 경(敬)과 그 제자 승연(僧演)을 비롯한 40인이 조성한 천불(千佛) 중 하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경주 호우총에서 출토된 ‘광개토태왕’이 쓰여 있는 청동 그릇(보물). 그릇 바닥에 새겨진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이라는 글자를 통해 광개토태왕의 장례를 치른 이듬해인 을묘년(415)에 추모 행사가 거행됐고, 거기에 참석했던 신라 사신이 고구려에서 이 그릇을 받아 왔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동에 세워진 육왕탑(育王塔)

『삼국유사』 「탑상」편에는 ‘요동성육왕탑(遼東城育王塔)’이란 항목이 보인다. 중국 당나라 도선 스님이 쓴 『집신주삼보감통록』이란 책을 인용하는데, 요동성 옆에 탑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 옛사람이 말하길 고려 성왕(聖王)이 나라를 순행하다 요동성에 이르러 오색구름이 덮여 있는 곳을 보고 가봤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멀리서 보면 승려와 그 옆에 3층 탑이 보이다가 가까이 가면 둘 다 사라지곤 했던 것이다.

② 그래서 승려와 탑이 보였던 자리 밑을 파보니, 범어가 쓰인 돌이 있었다. 주위의 신하들이 불탑(佛塔)이 있던 자리라고 했다. 왕이 자세히 물어보니 한나라 때 그것은 ‘보도(蒲圖)’라고 불렸다고 답했다.(『삼보감통록』의 원문과 비교할 때, 『삼국유사』는 ‘보도왕(蒲圖王)’으로 잘못 끊어 읽었는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

③ 이런 영험한 이적을 경험한 고려 성왕은 신심이 생겨 이곳에 7층 목탑을 세웠다. 아쉽게도 지금은 목탑의 흔적만 남아 있다고 한다.(요동성을 그린 고구려 고분벽화에 탑처럼 생긴 건물이 그려져 있기도 하다.)

여기서 ‘고려’는 고구려를 말한다. 광개토태왕과 장수왕 때를 전후해 고구려는 나라 이름을 ‘고려’로 바꿨다. 연가 7년 명 불상에도 ‘고려’로 나와 있다. ‘보도(蒲圖)’는 스님의 승탑인 부도를 일컫는 말이지만, ‘부처의 탑(불탑)’을 말하기도 한다. 

평안남도 요동성총(遼東城塚)에 있는 요동성 그림 모사. 요동성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 성 외곽에 탑이 있다. 육왕탑의 모습이지 않을까? 
출처. 동북아 역사넷 

일연 스님은 “땅속에서 이곳이 불탑 자리였다는 범어 글씨가 나왔다고 해서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인도의 육왕이 염부제를 통일하고 곳곳에 탑을 세웠다는 말이 있으니 괴이한 것만은 아니다”라고 별도로 논평했다. 

육왕은 아육왕(阿育王)으로 인도의 아쇼카왕을 말한다. 아쇼카왕은 인도를 통일하고 전국에 8만 4천 개의 탑을 세웠고, 불법으로 나라를 통치한 이상적인 전륜성왕(轉輪聖王)으로 받들어졌다. 불교가 인도 밖 중국 등으로 퍼지면서 다른 나라에서 아쇼카왕이 탑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고려 성왕이 가서 확인한 요동성 근처의 육왕탑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성왕이 육왕탑이 세워졌던 자리를 찾아 다시 7층 탑을 세운 것으로 봤을 때, 성왕은 전륜성왕의 줄임말로 보인다. 고려 성왕이 세운 7층 탑도 육왕탑으로 불렸던 것 같다. 

그렇다면 고려 성왕은 구체적으로 고구려의 어떤 왕을 말하는 걸까? 사람들은 동명성제(東明聖帝, 주몽)를 고려 성왕으로 보기도 하지만, 일연 스님은 아니라고 했다. 동명성제가 나라를 세운 시기는 기원전 37년으로, 고구려에 불교가 들어온 372년으로부터 몇백 년 전이기 때문이다.

육왕탑은 요동성에 세워졌으므로 적어도 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한 이후에 세워졌을 것이다. 일시적 점령이 아니라 육왕탑을 세울 만큼 고구려 영토로 완전히 편입된 이후의 일이다. 고구려는 385년 여름, 고국양왕 때 요동을 점령한 적이 있다. 그러나 그해 겨울 다시 빼앗겼다. 일시적 점령이었고, 탑을 세울 만큼의 여유가 없던 시기다.

요동이 확실하게 고구려 영토가 된 것은 광개토태왕 때였다. 광개토태왕은 요동을 확보한 이후 이곳에 7층 목탑을 세워, 이곳이 고구려 땅임을 확실히 하고 이 땅의 백성들을 위무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마침 광개토태왕 때 중국 승려 담시도 요동에서 활동하면서 고구려에 계율 등을 전파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육왕탑을 세운 고려 성왕은 광개토태왕일 가능성이 크다. 

북부여 수사(守事)로 활동했던 모두루(牟頭婁)가 광개토태왕을 ‘호태성왕(好太聖王)’이라 부르기도 했다. 

중국 길림성 집안시에 있는 모두루 묘지의 글. ‘호태성왕(好太聖王)’이란 글자가 보인다.

광개토태왕은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반포했고, 자신을 영락태왕(永樂太王)이라고 했다. 불교의 영원한 즐거움이란 뜻인 영락을 표방하면서, 392년 ‘널리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는 교서를 내렸다. 393년에는 남쪽의 평양에 아홉 개의 절을 세우고, 북쪽으로는 인도의 아쇼카왕을 본받아 자신이 점령한 요동에 7층 목탑을 세우기도 했다. 마치 사방으로 수레를 몰아 불법을 전파하는 전륜성왕과 같은 모습이었다.

광개토태왕은 나중에 ‘요동성육왕탑’이야기의 주인공인 고려성왕으로 등장했고 사람들은 그를 전륜성왕으로 칭송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 광개토태왕이 표방한 전륜성왕 사상은 후에 백제의 성왕과 신라의 진흥왕으로 이어졌다. 

 

조경철
연세대 사학과 객원교수,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연세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2013년 한국연구재단이 조사한 한국사 분야 학술지 인용지수 2위를 차지했다. 저서로는 『백제불교사연구』, 『나만의 한국사』 등이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려고 노력 중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