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그늘] 효봉(曉峰) 스님
상태바
[스님의 그늘] 효봉(曉峰) 스님
  • 관리자
  • 승인 2007.09.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경수좌(斷莖首座)

나는 효봉 스님께서 미래사(彌來寺)에 와 계시다는 소식을 들으면 되도록 미래사로 스님을 뵈러 갔다. 화두를 일러주신 스님이므로 화두를 들고 공부한 그동안의 이런 저런 말씀을 드 리기 위해서 찾아뵙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스님의 사람 대하시는 품이 포근하여 그에 끌려 서 자주 뵙고 싶어했다.
어느 해던가, 미래사로 스님을 뵈러 갔을 때였다. 월간 「자유문학」에 설창수 씨가 쓴 '단경수좌(斷莖首座)'라고 하는 시가 실렸다.
지금 그 시를 기억하지는 못하나 기억하는 내용은 어느 젊은 스님이 성욕을 끊기 위해서 남근(男根)을 잘랐는데 수행인으로서의 그 용기는 달마(達磨) 대사를 찾아간 혜가(慧可) 스 님이 구법(求法)의 굳은 결의를 보이기 위해서 스스로 팔을 자른 것과 비교하여 더 하면 더 했지 결코 모자라지 않다고 찬탄하는 시였다.
이 단경수좌에 관해서 그 무렵, 내가 들은 이야기는 대충 이러했다. 남해 보리암에 공부를 대단히 열심히 하는 스님이 있었는데 매주 토요일이면 스님에게 연정(戀情)을 품은 어느 젊 은 여교사가 찾아와 묵어갔다고 한다. 보리암은 우리나라에 있는 관음도량(觀音道場) 세 곳 중 한 곳이어서 기도하는 신도가 끊이지 않는 절이다. 처음에 스님은 여교사를 대하기를 기 도하러 오는 수많은 여느 신도와 같이 대했다.
그러나 자주 만나게 되는 사이에 여교사의 품은 연정을 느끼게 되고 여교사의 연정이 깊 어질수록 스님에게도 무게가 더해져서 공부에 장애가 되고, 스님 생각에 여교사가 스님을 스님으로서가 아니라 남성의 한 사람으로서 사랑할진대는 남성의 상징인 남근을 잘라 없애 버리면 화근이 없어지리라 해서 남근을 잘라버렸다는 것이다.
내가 미래사에 갔을 때, 이 사건은 자연히 화제가 되었다. 동석한 수좌들은 효봉 스님에게 서 이 사건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 지 여쭙게 되었다. 좌중에 나이가 많은 스님 가운데는 가 상하다는 이가 있는가 하면, 젊은 스님 중에는 도리어 수행의 의지가 약해서 저지른 자해 (自害)라고 비난하는 이가 있고, 어떤 스님은 불구가 어찌 수행을 제대로 할 수 있겠는가 걱 정하기도 하였다.
그 때, 효봉 스님께서 혜외(慧嵬) 선사 이야기를 들려 주셨다.
혜외 선사는 399년 법현(法顯 340∼420)과 함께 인도로 구법(求法)의 길을 떠났다고 「양 고승전(梁高僧傳)」은 기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달마 대사를 초조(初祖)로 하는 중국의 선종 이 시작하기 훨씬 전의 선사이다. 달마 대사가 520년에 중국의 광주(廣州)에 왔다고 하는 설 을 기준으로 하면 혜외 선사는 달마로부터 무려 120년 전의 인물이다. 흔히 달마 대사가 처 음으로 중국에 선(禪)을 가져와 달마 대사로부터 선이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것은 잘못 아는 것이다. 달마 대사 이전에 이미 중국에는 많은 선사들이 있었고 혜외 선사는 그 중의 한 사람이다.
계행(戒行)이 청정한 혜외 선사는 생애의 대부분을 심산유곡에 초암(草庵)을 짓고 숨어살 면서 오로지 선수행(禪修行)에 몰두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지척을 분간할 수 없게 눈이 내 리는 어느 날, 한 여인이 선사의 초암을 찾아와 하루 밤 재워주기를 청하였다. 여인의 용모 는 단정하고 입은 옷은 깨끗하였으며 자태는 부드럽고 아름다웠다. 요즘 말로 표현해서 매 력 만점에다 섹시하기 이를 데 없는 여인은 스스로 자기를 천녀(天女)라고 소개하였다. 그리 고 선사에게 "스님은 대단히 덕이 크신 분입니다. 때문에 하늘은 저를 보내서 스님을 위무 (慰撫)해 드리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다. 여인은 갖은 교태와 말로써 선사를 유혹하였다.
그러나 선사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비록 여인과 살을 섞지는 않을지라도 추운 겨울밤을 초암에서 지내도록 허락할 만도 한데 여인을 받아들이지 않은 선사는 여인에게 "나의 마음 은 죽은 재(灰)와 같다. 아름다운 여인의 뜨거운 몸을 가지고 나를 시험해도 소용이 없다." 고 말하였다. 도저히 선사를 유혹해야 뜻을 이룰 수 없다고 생각한 여인은 초암을 떠나면서 "바닷물이 다 마르고 수미산(須彌山)이 넘어진다 해도 저 스님의 뜻을 꺾을 수는 없으리라." 고 찬탄하였다. 이것이 『양고승전』에 전하는 혜외 선사의 모습이다.
효봉 스님은 혜외 선사의 이 같은 모습을 이야기하신 다음, 혜외 선사가 여인을 받아들이 지 않고 거절한 것은 수행의 경지가 얕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뒷사람이 있으나 그것은 파 계(破戒)한 선승(禪僧)이 자기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구실일 수도 있으니 공부하는 사 람은 경계를 해야 한다고 하셨다.
한편, 혜외 선사의 경우와는 반대로 여인을 받아들인 설화가 우리나라에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신라 때 관음 정진을 하는 두 사람의 도반(道伴)이 있었다. 두 사람은 각각 산 위와 아래 에 초암을 짓고서 선정(禪定)을 닦았는데 먼저 깨달은 사람이 그때까지 깨닫지 못한 도반을 제도하기로 약속한 사이였다.
어느 날, 눈비가 몰아치는 추운 밤, 한 젊은 여인이 산 아래에 있는 초암을 찾아와 재워 달라고 청하였다. 산아래 초암의 스님은 여인을 받아들이면 그 동안 생사를 걸고 쌓은 수행 이 보람 없이 무너진다 생각하고 추위에 떨며 간청하는 여인을 초암 밖으로 내쫓았다.
내쫓긴 여인은 산을 올라 산 위에 있는 초암에 이르러 하루 밤 재워달라고 청하였다. 산 위 초암의 암주(庵主)는 아무 말 없이 여인을 받아 들였다. 단칸인 초암 안으로 들어선 여인 은 암주에게 목욕을 하고 싶으니 물을 데워달라고 청했다. 암주는 말없이 물을 데워 큰 통 에 담아서 방안에 들여 주었다. 훨훨 옷을 벗은 여인은 알몸이 되어 통 속에 들어앉아 몸을 씻겨달라고 하였다. 암주는 이번에도 말없이 여인이 시키는 대로 여인의 몸을 씻어 주었다. 마치 마른 고목을 만지듯이 젊은 여인의 몸을 씻었다. 어느 순간, 여인은 서방(西方)을 향하 여 사라지고 통 속의 물은 황금빛으로 빛났다.
날이 새자 아래 도반은 생각했다. 간 밤 산 위로 올라간 여인이 돌아오지 않은 것을 보면 그 여인이 산 위의 초암에서 잔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산 위의 도반은 틀림없이 파계하 였을 것이다. 내가 가서 확인하고 그 잘못을 깨우쳐 주리라 생각하고서 의기양양 산 위의 초암으로 갔다. 가까이 가니 초암이 빛나고 있었다. 의아한 마음으로 초암 안으로 들어가니 찬란한 빛은 방안의 목욕통에서 나오고 있었고 초암의 주인은 서방을 향해 합장하고 앉아서 삼매에 들어 있었다. 아뿔싸, 산아래 도반은 간밤의 여인이 관음 보살이었음을 그제서야 깨 달았다.
효봉 스님은 선수행을 하는 사람 중에 계율을 가볍게 여기는 사람이 많고 그것을 도리어 자랑삼는 풍토가 확산되어 가는 것을 그 때 이미 걱정하셨다.
아름다운 여인의 뜨거운 육체를 고목을 만지듯이 만질 수 있고 여인의 몸을 씻어주면서도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사람만이 여인을 받아들이지 않은 혜외 선사의 수행의 경지가 미숙하 다 할 수 있고 단경수좌의 단경을 비난할 자격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그러한 사 람이라면 결코 혜외 선사나 단경수좌를 가볍게 보지 않으리라고 믿는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배지숙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