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순경영, 중생을 따르고 섬겨 고통을 치유하는 길
| 마음이 늙고 병들고 죽어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함
얼마 전 TV에 강아지공장이 방영되어 충격을 주었다. 열악한 환경에서 번식만을 위해 사육되고 있던 어미 개들의 이야기였다. 애견가들이 예쁜 강아지를 비싸게 산 것이 결과적으로 업자들의 잔혹 행위를 방조했다. 애견가는 강아지를 애완상품으로, 업자는 돈벌이 대상으로 여겨서 벌어진 일이다. 아프리카에서는 군대가 아기공장을 운영해서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도 했었다. 부녀자들을 납치해서 아이들을 낳게 한 다음 노예로 내다 팔았다.
강아지공장은 반려의 의도는 좋았지만 결과가 나쁘게 나타났다. 아기공장은 의도와 결과 모두 극단적으로 나쁜 사례이다. 마음 작용인 의도가 좋아도 연기관계에 악이 개입되면 결과가 나쁜 쪽으로 흐른다. 상대가 나쁜 마음을 먹거나 이쪽 의도와 다르게 행동해서이다. 결과에 무관심한 의도는 망상과 말장난에 불과하다. 진정으로 좋은 의도는 연기관계를 통섭해서 결과까지 좋게 만든다.
존귀한 생명마저 상품으로 전락했으니 세상은 갈 데까지 갔다.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마음이 노쇠하고 병들고 죽은 탓이다. 육신은 생로병사를 거스를 수 없지만 마음은 살아서 깨어 있어야 한다. 마음이 깨어 있어야 고통을 느끼고 치유에 나선다. 상대의 고통에 공감해서 자비를 실천한다. 서로 뜻과 행동을 함께 해서 고통 치유를 위해 노력한다.
보현보살의 아홉 번째 행원은 중생을 따르고 섬기는 수순중생隨順衆生이다. 말을 물가에 끌고 가더라도 물을 마시는 것은 말의 마음에 달렸다. 어리석은 중생은 불법의 감로수가 좋은 줄 몰라서 혹은 알면서도 마시지 않는다. 보살은 중생이 고통을 자각하고 스스로 치유에 나서도록 한다. 중생이 발심·정진하는 계기를 만들어 줄 뿐이다. 보살은 중생과 더불어 살면서 몸을 낮추고 숨긴다. 수순경영은 고통 받는 중생을 따르고 섬겨서 진정한 행복에 이르도록 하는 일이다.
지금 불교계는 산중에 고립되어 있거나 아니면 세속과 뒤섞여서 고통을 치유해 주지 못한다. 머리의 알음알이에 치중해서 가슴의 자비, 손발의 실천을 소홀히 하는 탓이다. 수행과 보살행 모두 알음알이가 끊어진 불립문자여야 한다. 수순을 통해 수행과 보살행이 하나 되고, 귀일심원歸一心源과 요익중생饒益衆生이 만나야겠다. 심우도 마지막 장면에서 수행자는 저잣거리에 몸을 숨겨 입전수수立廛垂手한다. 깨달음을 드러내지 않고 세속 고통에 몸을 던지는 수순을 실천한다. 실천의 종교인 불교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어서 심히 안타깝다.
| 중생을 따르고 섬겨 고통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수순경영
오래 전 부처님이 불법을 펴셨지만 세상은 여전히 고통에 휩싸여 있다. 불법은 문자로 남아 있지만 그 실천의 바퀴는 거의 멈춰선 듯하다. 현실은 절망적이고 자신의 노력은 무력해 보인다. 사람은 바뀌기가 어렵고 바뀌더라도 쉽게 예전으로 돌아간다. 상대를 바꾸는 것은 고사하고 자신이 바로 사는 것조차 확신이 없고 힘에 부친다. 크고 무거운 바퀴가 멈춰 있을 때 이것을 돌리려면 약한 힘을 꾸준히 오랫동안 가해야 한다. 미세하게 움직이기 시작해서 점차 빨라져 나중에는 절로 돌아간다. 수순도 항상 새롭게 시작하고 무한히 지속해야 한다.
수순의 출발점은 중생 고통에의 공감이다. 범종 소리는 주파수가 사람 심장 박동수인 64헤르츠일 때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세상사도 생각·행동이 공명을 일으킬 때 고통이 최소화한다. 도인은 마음으로 통하겠지만 보통 사람은 상대 말을 경청해야 한다. 경청은 표정과 몸짓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포함한다. 재즈에서는 팀 연주에 기여한 동료에게 ‘큰 귀’를 가졌다고 칭찬해 준다. 즉흥연주를 하듯이 상대 언행에 반응하고 추임새를 넣어 주어야 한다. 경청하면 자신은 바른 관점을 갖게 되고 상대는 존중받는다고 느낀다. 『삼국유사』 천수대비가는 눈먼 딸에게 눈 하나를 달라고 천안관세음에게 기도하는 이야기이다. 여기서 천안관세음은 경청의 상징이다.
상대의 뜻에 맞추고 행동을 따라야겠다. 상대에게 도움 되는 바를 바로보고 절실한 고통을 해결해 주어야 한다. 무턱대고 상대를 따르거나 탐욕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 아니다. 지혜에 비추어 보고 방편을 동원해서 상대가 진정한 이익을 얻도록 해야 한다. 관세음보살은 목마른 이에게는 물을 주고 병든 이에게 의사가 된다. 불경 중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이 가장 위로를 받는 대목이다. 수순은 우리 자신이 관세음보살로서 살아가는 것이다.
상대를 믿고 자율에 맡기자. 상대가 주도해서 뜻을 이루고 성과를 내도록 한다. 미국의 한 카페는 권장 가격을 게시해두고 손님들이 알아서 내도록 한다. 그랬더니 손님의 60%는 권장 가격을, 20%는 더 많이, 20%는 더 적게 낸다. 돈이 없으면 1시간 정도 카페 일을 하면 된다. 수입이 비용보다 많이 발생해서 운영에 별 문제가 없다. 가정, 기업, 학교, 정부 모두 구성원들을 믿고 맡기는 데 인색하다. 불교적으로 보면 불성에 대한 신심이 부족하다. 상대가 간절히 원해서 스스로 행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세상은 내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연기緣起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관계 맺는 모든 이들을 섬겨야 한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동방순례』에 ‘레오’라는 하인이 나온다. 별 문제가 없던 순례단은 레오가 사라지고 나서 방향을 잃고 내분에 휩싸인다. 레오가 보이지 않게 단원들을 섬긴 리더였던 것이다. 부드러운 빛으로 세속에 스며들고 진흙 속에 연꽃을 피워야 한다. 영화 ‘간디’에서 인도인들은 영국군의 몽둥이에 얻어맞아 한 사람씩 한 줄씩 차례로 쓰러진다. 대의를 위해 침묵으로 맞서는 수순의 행렬이라 하겠다. 세속의 눈으로 보면 보살들의 수순은 희생에 가깝다. 변화가 느리고 어둠이 깊을수록 더욱 그러하다.
세상 흐름에 몸을 맡겨 부드럽게 멀리 나아가야 한다. 철새는 기류에 올라타 수백 수천 킬로미터를 날아간다. 고해에서 불국토로 가는 머나먼 길도 상승기류를 타면 한결 수월하다. 억지로 날갯짓을 하면 힘이 들고 중력과 맞바람을 이겨내지 못한다. 불법은 상승기류를 안내하는 지도이다. 보리를 구하면 위로 떠오르고 자비를 실천하면 앞으로 나아간다. 각행원만覺行圓滿의 대자유인으로 허공을 날아가야겠다.
| 고통 현장의 이름 없는 중생들이 미래 보살들
이번 여름은 정말 뜨거웠다. 더위로 힘들었던 것은 수행자들도 매한가지였다. 상당수 선방이 오후에는 자율 정진을 허용했다. 한 곳은 일정 온도 이상이면 잠시 쉬기로 정해두었다. 온도계 눈금이 그보다 조금 아래를 가리키자 누군가 다가가 입김을 불어서 높이려 했다. 이래서 불교가 좋다. 유머가 있고 사람 냄새가 난다. 입김은 지치지 않고 수행하기 위한 한때 방편이다. 더위와 온도계 눈금에 상관없이 수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수행 행위는 에너지를 적게 소비해서 육신의 고통을 줄여준다. 수행으로 얻는 지혜는 탐욕을 순화시켜 인간이 기후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한다. 수행의 공덕은 사회를 통합시켜 같은 자연조건에서도 고통 총량이 감소토록 한다. 수행을 계속하거나 잠깐 쉰 것은 자신에 대한 수순, 수행을 통해 지혜를 얻고 공덕을 심은 것은 세속 중생에 대한 수순이다. 폭염 속 수행은 수순의 치열한 현장이었다.
세상은 고통으로 들끓는 화탕지옥이다. 폭염은 현실이 화탕지옥임을 자각하라는 자연이 보내는 메시지이다. 수많은 이름 없는 중생들이 현장에서 수순하고 있어 세상이 이나마 유지된다. 부처님이 계시다면 미래 부처로 수기해 줄 보살들이다. 각자 처한 자리에서 수순으로 탐욕·폭력의 불길을 꺼나가야 더 이상 말라죽거나 타 죽지 않는다. 폭염 속에서 수행했듯이 세속 고통의 현장에서 수순을 해야겠다.
우리 모두 강자·약자의 관계망 속에서 살아간다. 약자의 수순은 생존 전략은 되지만 세상을 크게 바꾸지는 못한다. 강자의 수순은 덕목이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계기가 된다. 강자의 수순이 어렵고 희소하지만 그 효과는 훨씬 크다. 부처님이 전륜성왕이 되지 않고 깨달은 이로서 평생 수순중생하셨기에 불교가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전륜성왕은 권력·부의 강자, 부처님은 지혜·자비의 강자이다. 출가자와 재가자가 무엇을 강점으로 해서 수순해야 할지를 보여준다. 불법의 광명은 온 우주에 가득 차 있다. 마음의 눈을 뜨고 빛을 받아들이면 수순의 에너지가 무한히 생성된다. 소멸되지 않는 에너지여서 수순을 계속하고 범위를 넓혀갈 수 있다.
일본 아이누 족은 동물을 잡아먹고는 춤과 노래로 그 영혼을 위로해 준다. 영혼이 기분이 좋아야 동료들을 데리고 다시 찾아온다고 믿는 탓이다.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살생을 하면서 자비심으로 동물을 대한다. 자연을 따르고 섬기는 수순이다. 생명체와 그 관계들을 존중해야 고통이 치유된다. 요즘 사람들은 먹고살 만한데도 과욕을 부려 생명을 해치고 마음에 상처를 준다. 살생과 살심殺心의 죄를 동시에 범하고 있다. 수순해야 상대의 몸과 마음에 고통을 주지 않는다. 나의 본성을 돌아보게 되고 탐심이 줄어들어 행복해진다. 상대를 위하고 나에게도 이익이 되는 그 지점이 바로 수순이다. 지금 여기 가장 가까운 관계에서부터 수순을 실천해야겠다.
이언오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경영학 박사를 받았다. 삼성경제연구소 전무와 부산발전연구원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바른경영연구소를 이끌고 있다. 대학 때부터 불교를 공부하였으며, 불교와 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하면서, 불교와 경영의 접목을 모색하고 있다.
ⓒ월간 불광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