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象象붓다 ] 금강스님과 김신일 작가 대담
상태바
[상상象象붓다 ] 금강스님과 김신일 작가 대담
  • 마인드디자인(김해다, 박지연, 반지현)
  • 승인 2018.01.29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혜와 자비가 깃든 미술이라면 무엇이든 불교미술이지요.”

실상사 대웅전에 봉안된 후불탱화, 상도선원과 전등사를 장엄하고 있는 색다른 미술작품들을 보노라면, 그 아름다움에 압도되어 감탄이 절로 나온다. 김신일 작가의 작품은 전통사찰에서 친숙하게 접해온 불화나 불상과는 분명 다르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불교적인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문자조각으로 마음의 작용을 표현해나가는 그의 작품을 보면 과연 ‘불교미술’이라는 범주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를 고민하게 된다. 미황사 주지 금강 스님은 1997년 백담사에 전국 최초의 사찰 미술관을 마련했으며, 지금도 미황사에 그림 그리러 찾아온 화가들을 몇 년째 꾸준히 뒷바라지 해오고 있다. 미황사 주지 금강 스님과 현대미술가 김신일 작가가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    마음의 작용을 형상화하다

김신일 작가의 작품관은 상당히 공空적이다. 작가의 대표작 중 ‘Invisible Masterpiece(보이지 않는 명작)’는 관람자들이 빈 벽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을 압인드로잉(나오지 않는 펜으로 꾹꾹 눌러 그린 그림)을 활용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했다. 관람자들이 갤러리에서 이쪽저쪽 움직이며 ‘보이지 않는’ 명작을 경험하고 있는 모습은, 진정한 명작은 비어있음과 다름 아님을 나타내는 듯하다.

또 다른 작품 ‘Temporal Continuum Intuitively Known Élanvital Operates Emptiness(생의 약동으로 작동되는 일시적인 직관체-앙리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한 정의)’(2010)에서 작가는 이미지를 담고 있는 영상을 직관의 반대로서의 ‘지속’에 대한 단어와 문장을 함유한 문자조각에 투사하여 영상과 조형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이야기 전개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영상이나 단편적인 이미지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문자조각에 투사한다. 영상의 이미지는 문자조각에 의해 분할되어 다양한 빛들만 남게 되며, 이미지의 내용은 공空해진다.  

공空의 세계관을 표현하는 김신일 작가. 그는 어떤 인연으로 이러한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을까. 

“대학 시절부터 현대미술이 너무 서양의 색채만 따라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지던 중, 뉴욕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한 발자국 떨어져 바라보니 오히려 동양 철학의 가치가 와 닿더군요. 특히 불교가 종교를 뛰어넘어 2,500여 년간 사람의 ‘마음’을 연구해온 학문이라는 사실이 놀라워, 기독교 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불교를 접하기 위해 이리저리 많이 돌아다녔습니다. 뉴욕 원각사 동안거 기간에 잠시 머물러보기도 했고, 법문을 듣고 책을 읽으며 마음에 대해 본격적으로 생각하게 됐어요. 보이지는 않지만 인간이 하는 모든 행위의 밑바탕인 ‘마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마음을 화두로 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김 작가의 ‘마음’에 대한 관심은 문자조각으로 발전되었다.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전에서 전시한 ‘문자조각에 영상을 투사한 설치작품’과 2015년 갤러리시몬 개인전에서의 ‘빛으로 문자를 만든 작품’ 등이 그것이다. 미술 작품에 문자의 모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점이 돋보인다. 김신일 작가는 “작품으로 마음의 작용을 형상화하고 싶었다.”고 했다.

흔히 마음을 표현한다고 하면 추상화와 같은 모습을 떠올리지만 그런 형상과는 다른, 나만의 방식으로 표현해보고 싶어 문자의 형상을 차용하기 시작했다. 문자는 자기, 개인이 만든 형태가 아닌, 사회의 약속하에 이미 만들어진 형태이므로, 작업 과정에서 ‘나’를 덜어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김 작가는 작업을 해나가던 중 궁금했던 점을 금강 스님에게 질문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    생각과 생각 사이를 거닐다

김신일 작업을 해나가며 점차 ‘생각과 생각 사이’의 틈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내가 무언가를 만든다고 여기는 순간 ‘나’가 개입되는 것처럼, 생각이 일어나는 순간 이미 분별을 하게 되곤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한 생각이 일어난 순간과 다음 생각이 일어나는 순간 사이에는 무엇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습니다. 짧은 식견이지만, 생각이 일어나는 순간을 색色, 그 사이를 공空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금강 스님  지금 말하는 생각과 생각사이를 불교에서는 ‘진공묘유眞空妙有’라 합니다. 육조 혜능 대사는 그 지점을 무념無念, 무상無想, 무주無主라 표현했지요. 번뇌와 망상이 없는 상태를 무념, 고정된 상이 없는 상태를 무상, 어떠한 것에도 머무름이 없는 상태를 무주라 하지요. 수행은 바로 그 지점을 살아나게 하는 것이고, 온전한 그 성품을 드러내는 것이 선禪입니다. 작가님이 말한 ‘생각과 생각사이 ’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보입니다.

김신일  그 지점에 가까워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나’를 조금이나마 덜어내고자 선택했던 문자에서도 벗어나, 더욱 온전한 표현을 하고 싶은데, 그것이 참 어렵습니다.

금강 스님  지금 그대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은 현재에 흐릅니다. 이미 지나온 꽃밭에 연연하지 않고, 앞으로 무서운 폭포를 만날까 미리 걱정하지 않습니다. 지금 만나는 모든 것을 충분히 만나고 만끽합니다. 저는 그것을 ‘살아있다.’라고 표현합니다. 매순간이 완성인 것이지요. 

 

|    지혜와 자비가 깃들다

‘자재自在’는 ‘속박이나 장애가 없이 자유롭게 있음’을 뜻한다. “스님의 말씀을 듣고 미술이 추구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가 자재自在함이라고 생각한다.”는 작가의 말에, 불교가 어떻게 현대미술을 살아있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금강 스님  나를 앞세우지 않는 자비와 지혜의 마음이 필요합니다. 오케스트라 연주회를 가면 곡 자체도 훌륭하지만, 연주자 한 사람 한 사람이 최고의 음을 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럿이 어울려 완벽한 조화로움을 만들어 내지요. 연주자들이 단지 자신의 기량을 뽐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듣는 이에게 감동을 선물하고 싶은 마음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더욱 큰 울림으로 와 닿습니다. 미술작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예술은 나의 완성이기도 하지만 보는 사람들에게 지혜와 자비의 마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내가 터득한 지혜와 자비를 자기만의 색깔로 표현하고, 이 작품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마음, 삶에 작은 변화를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누가 만든 것이냐’가 아닌 ‘누구를 위한 것이냐’가 중요합니다. 사람들에게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그건 그냥 그림 한 점일 뿐이지요.

스님의 메시지에 귀 기울여 생각해본다. 불화나 불상에 국한되지 않아도, ‘나’의 완성을 넘어 지혜와 자비의 마음을 표현하고자 노력한 작품, 보는 사람들이 지혜와 자비의 마음을 전해 받을 수 있는 작품이라면, 넓게 보아 불교미술이라 일컬어도 되지 않을까.

금강 스님은 이렇게 덧붙였다. “화려하게 장엄된 법당은 부처님을 위한 것이라 생각하지만, 사실은 법당에 들어오는 사람에게, 보는 이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것처럼 현대인들에게 지혜와 자비의 마음을 전하는 미술작품은 그 모양이 어떻든 불성을 담은 미술일 것입니다. 그런 미술작품들이 살아서 세상 속에서 마구 꿈틀댔으면 좋겠습니다.”

김신일 작가는 “물론 문화적인 경계는 존재하겠지만,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미술이 불교미술’이라는 스님 말씀에 견주어보니, 기존에 가지고 있던 불교미술에 대해 가지고 있던 시각이 허물어졌다.”며 좋은 말씀을 감사하며 대화를 마쳤다. 

오늘날의 불교미술과 예술의 역할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는 대화. 전통은 그것이 단순히 오래되어서가 아니라 그 안에 깃든 정신 때문에 더욱 가치 있다는 것이었다. 훌륭한 전통이 지닌 가치는 시대와 문화를 막론하고 계승된다. 그렇듯 아름다운 형태도 중요하지만 그 안에 깃든 정신을 현대인들에게 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 앞으로의 불교 미술은 현대인들에게 어떻게 지혜와 자비를 전할 것인가. 고민해 볼 일이다.               

     

마인드디자인
한국불교를 한국전통문화로 널리 알릴 수 있도록 고민하는 청년사회적기업으로, 현재 불교계 3대 축제 중 하나로 자리 잡은 서울국제불교박람회·붓다아트페스티벌을 6년째 기획·운영하고 있다. 사찰브랜딩, 전시·이벤트, 디자인·상품개발(마인드리추얼), 전통미술공예품유통플랫폼(일상여백) 등 불교문화를 다양한 형태로 접근하며 ‘전통문화 일상화’라는 소셜미션을 이뤄나가고 있다.

 

이달의 볼 만한 전시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 韓國・日本・中国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실(서울) | 2018.1.26.~2018.3.18.
韓·中·日이 ‘호랑이 미술의 전통과 변용’이라는 주제로 각국에서 공동 전시를 연다. 부처님을 호위하는 12지신으로, 때로는 지장시왕도의 옥졸로, 다양한 불교미술에서 신비스러운 힘을 지닌 영물로 표현되는 호랑이. 그림 속 호랑이를 통해 동아시아 한중일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엿볼 수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겨울나기’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Ⅰ(서울) | 2017.12.13.~2018.3.5
2018평창동계올림픽 기념 전시. 한국의 겨울을 보내는 삶의 지혜를 ‘춥지만 따뜻한 감성’으로 만난다. 한국의 겨울 풍속을 통해 강원도의 멋과 맛을 소개하는 자리로, 따뜻하고 정겨운 겨울을 발원하고 새봄을 준비하는 알찬 시간을 가져보자.

백제의 불교미술
국립공주박물관 기획전시실(공주) | 2017.11.07.~2018.1.14. 
삼국 중 가장 섬세하고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던 백제의 불교미술을 한 자리에 모았다. 삼국의 주요 불교미술품, 특히 불교조각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까지 만날 수 있어 더욱 뜻깊다.

데이비드호크니David Hockney
메트로폴리탄뮤지엄(뉴욕) | 2017.9.27. ~ 2018.2.25.
무언가를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세계적 거장 데이비드 호크니의 그림은 마치 망막에 맺힌 상을 그대로 화폭에 옮겨 놓은 듯하다. 어떠한 분별도 들어가 있지 않은 시선으로, 일상의 다양한 소재에서 길어 올린 천진한 색채와 형태 속에서 그의 순수한 영혼, 진정한 자유를 만나보자.

20세기 서화미술거장Ⅰ ‘김종영, 붓으로 조각하다’
예술의 전당 서울서예박물관(서울)|2017.12.22.~2018.2.4.
한국 현대 추상조각의 아버지로 불리는 우성 김종영. 그의 조각을, 그의 정신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서화, 서예와 함께 살펴보는 전시. 부처의 경지에서 노닐며 무엇에도 사로잡히지 않는 유희삼매遊戱三昧를 추구했던 그의 자유로운 작품세계를 만나보자.

인물원 First Apple - 이지영 개인전
갤러리밈(서울) | 2017.11.29.~2018.1.14.
동물원에 갇혀 사는 동물들처럼, 어쩌면 인간은 ‘인물원’에 갇혀 있는 게 아닐까? 섬세한 연필 드로잉으로 표현된 상상 속 ‘인물원’의 모습은 답답해 보이기보다는 오히려 즐거워 보인다. 나도 모르게 나를 가두는 ‘기분 좋음’에 대해 한번쯤 조심스런 물음표를 던져볼 일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