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들의 한 물건] 수첩백서
상태바
[작가들의 한 물건] 수첩백서
  • 해이수
  • 승인 2020.02.19 14: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 뇌를 펼쳐 보일 수는 없지만 내 수첩을 펼쳐 보일 수는 있다. 내 입술을 열어 당신에게 진심을 전하기는 극히 어렵지만 수첩을 열어 전하고픈 속마음을 적을 수는 있다. 내게 수첩은 몸 밖에 꺼내놓은 뇌이자 심장이다.
수첩에는 지나온 길과 지나갈 길을 기록한 시간의 좌표로 가득하다.
언덕에서 만난 사람과 계곡에서의 유의사항, 동굴에서 해야 할 일과 나무 아래의 약속이 꼼꼼히 적혀 있다. 그 길에서 생각한 것, 바라본 것, 나눈 얘기, 먹은 음식 등이 궤적으로 남는다. 나는 당신에게 ‘나’를 당장 보여줄 수는 없어도 수첩은 보여줄 수 있다.
내게는 이렇다 할 작가적 시그니처가 없다. 동그란 안경을 쓰지도 않았고 고급 만년필을 갖고 다니지도 않는다. 소설가라고 새긴 명함도 오랫 동안 없었다. 그래도 억지로 하나를 꼽으라면 수첩을 지니는 습관이다.
작년에 EBS <세계테마기행> 미얀마 편 제작팀과 인터뷰를 했다. 나는 진행자를 뽑는 후보 네 명 중 한 명이었는데, 줄곧 제작진의 관심을 끌지 못하다가 일정을 보려고 수첩을 펼친 순간 저들의 탄성과 환호를 들었다. PD 와 방송 작가들은 최신 모델의 스마트폰보다 손때 묻은 육필 수첩에 더 열광했다. 유력 후보 중에는 미얀마어를 전공한 대학교수와 그 나라의 여행 가이드북을 출간한 작가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나는 4부작 기행 프로그램의 진행자로 낙점되었는데, 근거는 없으나 수첩 덕분이라고 믿는다.
스마트폰 없이 살 수는 있지만 수첩 없이는 살 수 없던 시기도 있다. 첫장편소설 『눈의 경전』을 쓸 당시 휴대전화를 1년 넘게 꺼두었다. 전화만 받으면 장편을 다 썼느냐는 질문에 대답이 난감하던 때였다. 웬만하면 연락도 하지 않고 모임에도 나가지 않았다. 매일 집필 분량을 수첩에 기록하는 게 큰 낙이었다. 전체 분량은 라인 그래프로 그려 넣고, 챕터 분량은 파이 그래프로 그려 넣고, 하루 작업량은 막대 그래프로 그려 넣었다. 하소연할 곳도 마땅히 없어서 그렇게 수첩을 벗하며 버텼다. 그 당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이랬다.

“넌 매일 뭘 그렇게 쓰니? 누가 보면 꼭 소설가인 줄 알겠네!”

이러다 보니 1년에 수첩 두세 권을 쓰는 경우가 흔하다. 연말이 되면 다음해 수첩을 20권 정도 구입해서 가까운 이들에게 나눠주고 내가 사용할 서너 권을 챙겨둬야 마음이 편하다. 어느덧 소문이 나서 지인들이 해외여행의 기념품으로 사다주기도 하고 값비싼 제품을 선물로 건네기도 한다.
몰스킨, 로이텀, 핫트랙스, 프랭클린 등을 좋아하지만,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는 국내 중소기업에서 제작한 ‘대경 Record 32A’이다. 손에 쥐면 쏙들어오는 크기에 무엇보다 지면이 넓다. 커버 포켓이 달려서 티켓이나 카드의 수납이 용이하다. 대형 마트에서 구입이 쉬웠는데, 몇 년 전부터 대량 주문 제작으로 판로를 바꾼 탓에 전에 사둔 수첩의 달력을 수정액으로 지우고 고쳐 써서 사용한다.
수첩의 첫 페이지에는 좋아하는 격언이나 잊고 싶지 않은 문장들을 적는다. 작년에는 아래의 두 문장이 뽑혔다.

‘글쓰기는 목적이 아니라 삶의 방식이다.’ ‘수련자여, 아사나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아사나의 깊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위의 것은 글쓰기의 중압에 눌리지 않는 일상화를 위해 써둔 것이고, 아래 것은 아쉬탕가 요가를 5년 이상 수련하면서 발견한 한 가지를 적은 것이다.

수첩을 펼쳤을 때, 왼쪽 오른쪽 양면을 통틀어 오직 한 줄의 문장만으 로도 풍족한 경우도 있다.

‘묘사된 들판은 실제의 들판보다 푸르러야 한다.’

페르난도 페소아의 이 전언은 묘사란 무엇인지, 예술의 재현이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극적으로 압축해서 보여주고 있다. 내가 대학 강단에서 목이 쉬도록 세 시간짜리 강의를 해도 이 한 줄을 뛰어넘기 어렵다.
몇 년 전 한중작가회의 주관으로 푸젠성 (福建省) 샤먼대학교 (厦門大學校)
에서 열린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일주일 동안 중국 작가들과 의견을 교환 하며 나는 참 많은 것을 메모했다. 더욱이 푸젠성은 주희 (朱熹) 가 학문을 꽃피운 곳이고 무이구곡 (武夷九曲) 을 비롯한 명승지가 많았다.
중국 일정이 끝나갈 무렵 국내선을 타고 한 시간 거리의 다른 도시에 다녀왔는데,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도 나는 보고 들은 것을 잊을까 봐 적고 또 적었다. 오랜만에 꽤나 멋진 아이디어가 샘솟듯 솟아서 손이 생각을 따라잡지 못할 정도였다.
랜딩이 끝나자 선배 작가가 선반의 짐을 내리려 애를 써서 나는 자리 에서 일어나 그분을 도와드렸다. 짐을 내리자 여기저기서 도움의 요청이 들어왔다. 요청에 응하는 동안 승객들은 신속히 빠져나갔고 내 옆자리에 앉은 동행이 내 가방을 들고 와서는 어서 나가자고 했다. 온몸의 피가 차갑게 식는 듯한 오한이 든 건 공항을 빠져나와 단체 버스를 타고 20분쯤 달린 후였다.
“왜 그래? 괜찮아?”
얼이 빠진 탓인지 옆자리에 앉은 선배의 목소리가 버스의 운전석쯤에서 들리는 듯했다. 가방을 뒤지는 내 손짓을 본 선배가 미간의 주름을 잡으며 내 안색을 살폈다.
“혹시 뭐 두고 왔니?”
나는 괜찮다는 듯 애를 쓰며 웃음을 지었다. 비행기 좌석의 그물주머니에 두고 온 수첩과 펜은 이제 어쩔 수 없었다. 통역을 맡은 중국인 대학원 생은 종일 시달린 나머지 곤한 잠에 빠져 있었다. 수첩을 잃어버린 적은 처음이지만, 오래전부터 예상하던 일이었다.
그날 이후로 야릇한 해방감이 찾아왔다. 그것이 사라지면 죽을 것 같았는데, 그것이 사라져도 아무 일이 벌어지지 않았다. 수첩과 강박을 동시에 그곳에 놓고 온 셈이었다.
수첩 활용에서 중요한 건 사실 쓰는 행위가 아니라 중요한 것을 기억하는 일이다. 기록 자체는 그다지 큰 의미가 없다. 아무리 많이 써도 기억해야할 것을 기억하지 못하면 부질없는 짓이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을 잊지 않는 다면 적지 않아도 된다. 새해의 수첩 여백에 문득 쓴다. 내가 적은 수첩이 쌓여 내 키를 넘긴다면 이번 생에서 기억해야 할 것을 기억할 수 있을까?

 

해이수

2000년 「현대문학」으로 등단. 소설집 『엔드 바 텐드』, 『캥거루가 있는 사막』과 『젤리피쉬』, 장편소설 『눈의 경전』과 『십번기(十番棋)』가 있다. 심훈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오늘의젊은예술가상을 수상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