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Mindfulness) vs 정념(Proper mindfulness)
요즘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명상 중 하나가 마음챙김입니다. 마음챙김이란 이름에서 이것이 바로 불교에서 유래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 중 정념(正念)에서 비롯됐습니다. 그런데 서양에서 ‘바른 마인드풀니스(Proper Mindfulness)’가 아닌 마인드풀니스(Mindfulness)로 번역됐고, 그것이 동양권으로 역수입되면서 ‘마음챙김’이 됐습니다. 이제는 전 세계가 이걸 마인드풀니스, 즉 마음챙김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쨌든 마음챙김 명상은 오늘날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세계의 많은 학자와 명상가들이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마음챙김은 책으로 많이 나와 있어서 어떤 언어로든 마음챙김의 방법, 이점, 원리 등을 쉽게 듣고 읽어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그 효과가 증명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마음챙김 명상은 미국에서도 인기가 좋고, 유럽에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출가자부터 일반인, 심리학자, 의사들도 너도나도 마음챙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좋은 소식은 마음챙김이 보급되면서 명상이 대중화됐다는 점입니다. 요즘 명상을 한 번쯤 안 해본 사람은 거의 없을 정도로, 전 세계 사람들이 명상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됐습니다. 그런데도 만일 여러분이 마음챙김 명상을 꽤 오랫동안 하다 보면 결국 그 한계를 느끼게 됩니다. 왜일까요?
그건 이런 마음챙김 명상이 모두 감각적인 쾌락과 즐거움을 부추기기 때문입니다. 명상을 배우러 찾아온 꽤 많은 학생이 이미 마음챙김 명상을 오랫동안 해봤다고 말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5년, 10년 이상 마음챙김을 해봤고, 마음챙김 덕분에 명상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스트레스 감소, 기력 증진 등 많은 이점을 누렸다고 말했죠. 하지만 한결같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본 후 더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유의 여러 마음챙김 명상도 시도해봤다고 했죠. 예를 들어 나무를 껴안는 명상을 하다가 효과가 미미해지면, 설거지하면서 마음챙김도 해봤다가, 꽃향기에 집중도 해봅니다. 음식물을 씹으면서 마음챙김도 해보고, 미소 짓는 명상도 해봅니다. 이것들은 모양만 달라졌지 모두 감각적 쾌락이나 특정 선정의 안락만 쫓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진전이 너무 느리거나 한곳에 정체하게 됩니다. 이건 진정한 불교 명상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명상하면서 미소를 짓습니다. 명상의 기본은 고요함인데, 입을 움직이고, 미소를 짓고 기분이 좋아지려 노력합니다. 명상하면서 웃거나 울거나, 코를 긁적거리거나, 좋은 기분을 알아차리려 노력한다는 것은 명상에서 권할 만한 일이 아닙니다. 그건 궁극적으로 여러분에게 좋은 일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이런 명상법으로 도움을 받고 있다면 그것도 괜찮습니다. 선택은 여러분의 자유입니다. 하지만 이런 스타일의 명상을 하다가 한계를 느꼈다면, 이제 여러분도 그 원인을 알게 됐습니다. 많은 이들이 마음챙김 명상을 열심히 할 때는 좀 좋아졌다가, 멈추는 즉시 곧 예전으로 돌아간다고 말합니다. 마음엔 여전히 잡념이 일어나고, 감정의 기복을 다스릴 수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한계입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동의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여러분이 하고 있는 명상에서 충분한 만족감을 느낀다면, 이 글을 무시해도 괜찮습니다. 반대로 이런 유의 명상 수행에서 한계를 느끼고, 더 이상 발전이 없어서 돌파구를 찾고 계셨다면, 그건 명상에서 편안하고 좋은 기분을 쫓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명상법이든 기분이 좋이지기 때문에 명상한다고 말한다면, 바로 그것이 정체의 원인입니다.
우리 스타일의 명상은 그와는 정반대입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기분 좋은 것을 부추기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좋은 기분도 단지 일시적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좋은 기분이 명상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불교 명상은 절대 감각적인 걸 추구하지 않습니다. 이런 잘못된 기반으로 명상을 배우면, 초반에 아주 빨리 최고점을 찍고, 그 후엔 진전이 멈출 것입니다. 마음챙김 명상을 수년간 해보고, 한동안 지난 후 더는 진전하지 못했다면, 그 이유는 바로 이렇습니다. 그런 기반으로 명상을 하면, 20년을 하더라도 대부분 삼선(三禪)에서 정체하고, 그 이상 넘어갈 수 없습니다.
우리처럼 아프고 불편한 것을 참아야 하는 명상법을 소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결가부좌 자세를 기본으로 명상을 지도하면 가르치는 사람에게 매우 힘든 일들이 많이 생깁니다. 처음부터 학생들이 많은 불평을 쏟아냅니다. 심지어 진전이 있어서 이것이 좋은 방법이고, 결과가 좋다는 것을 알더라도, 일단 힘들고 괴로우면 다 불평하게 됩니다. 그래도 우리는 여러분에게 불편함을 참는 것부터 가르칩니다. 왜냐하면 저는 스승님이 저에게 가르쳐주신 것처럼, 여러분도 단단하고 바른 기반을 세우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바로 위앙종의 기반입니다.
사실 옛 중국 전통적 선(禪)의 훈련법은 더 어려웠습니다. 예전에 중국의 선당(선방)에 가면 모두 결가부좌로 앉았습니다. 다른 이들이 결가부좌로 앉으면 여러분도 똑같이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거나 움직이면 누군가 와서 막대기로 때릴 겁니다. 게다가 설명도 안 해줬습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그렇게 하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요즘 사람들은 그런 걸 견딜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서양 문화와 교육을 받은 요즘 사람들은 그런 걸 할 수 없습니다. 여러분이 앉아서 ‘내가 왜 여기 앉아서 시간 낭비하고 있지? 한 시간이나 있었는데 아무도 나에게 뭘 하면 되는지 말을 안 해주네’, ‘다리가 미친 듯이 아파. 다치는 건 아닐까?’, ‘이렇게 무리하면 내일 출근할 수 있을까?’ 이렇게 머릿속이 생각으로 가득 찹니다.
그래서 우리는 여러분의 이런 불평과 고민을 편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괜찮아요. 다치지 않을거예요”라고 설명해줍니다. 여러분에게 언제나 쉽게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조금만 더 오래 앉으라고 격려해줍니다. 원래 어려운 과정이니 포기하지 말라고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예를 들어 미국 위산사 법당엔 갓난아기가 기어 다니고, 바닥엔 장난감, 인형, 크레용, 아이패드 아무거나 다 있습니다. 나이, 종교, 문화 배경이 다른 이들이 명상할 수 있도록 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이 앉아서 졸면서 하든, TV를 보든 우리는 상관하지 않습니다. 훈련하는 방식이 유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미국식 위앙종 훈련 스타일입니다. 결과지향적입니다. 우리는 정체하는 것을 피하고, 계속 진전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진전은 여러분 스스로 알 수 있습니다. 더 좋은 사람이 됐는가? 더 자비로운가? 더 좋은 아버지인가? 더 좋은 어머니인가? 더 좋은 직원, 더 좋은 의사인가? 더 좋은 남편, 더 좋은 아내인가? 그것이 바로 진전입니다. 그리고 그곳에 진정한 즐거움이 있습니다. 속으로 ‘오 나 기분 좋아’라고 하는 게 아닙니다. 즐거움이란 우리가 삶에서 좋은 일을 하는 것입니다. 계속되는 진전은 여러분이 더 나은 사람이 되게 하고, 우리가 하는 걸 더 잘하게 해줍니다. 그것이 미국의 선(禪)입니다.
현안(賢安, XianAn)
출가 전 2012년부터 영화(永化, YongHua) 스님을 스승으로 선과 대승법을 수행했으며, 매년 선칠에 참여했다. 2015년부터 명상 모임을 이끌며 명상을 지도했으며, 2019년 미국 위산사에서 출가했다. 스승의 지침에 따라서 2020년부터 한국 내 위앙종 도량 불사를 도우며 정진 중이다. 현재 분당 보라선원(寶螺禪院)에서 상주하며, 문화일보, 불광미디어, 미주현대불교 등에서 활발히 집필 중이다. 국내 저서로 『보물산에 갔다 빈손으로 오다』(어의운하, 202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