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기고 염원하다, 팔만대장경] 사경寫經, 경전을 새기다
상태바
[새기고 염원하다, 팔만대장경] 사경寫經, 경전을 새기다
  • 김남수
  • 승인 2022.09.28 13: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전을 새기는 것을 사경(寫經)이라 한다. 법문이나 강의같이 말로써 부처님 법을 전하기도 하지만, 법을 널리 전하기 위해서는 문자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손으로 직접 베낀 것을 한자로 필사본(筆寫本)이라 한다. 나무에 새긴 것을 목판본(木板本)이라 한다. 시기가 오래된 경전일수록 필사본이 많다.

사경은 법을 전하기 위한 것이 일차적 목적이지만, 신앙과 수행의 의미로 행해지기도 한다.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통일신라 시대 목판본이다. 탑에 경전을 안치했기에, 종교적 행위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근래 많은 사찰에는 ‘사경반’, 혹은 ‘사경 모임’을 구성해 수행의 과정으로 사경을 하기도 한다. 『금강경』, 『법화경』, 『화엄경』과 같은 경전을 붓이나 펜으로 베끼면서 자신을 탁마하는 것이다. 

불교가 국가적 종교 위치에 있었던 고려시대는 국가적으로 사경이 행해지기도 했다. 이런 사경은 단순히 한지와 먹으로 하지 않았다. 염색한 고급스러운 종이, 즉 감지(紺紙) 위에 금과 은으로 사경했다. ‘감지 『화엄경』’, ‘감지 『법화경』’이라는 것은 감지 위에 『화엄경』 혹은 『법화경』을 사경한 것을 말한다. 

이때는 대규모 목판본을 제작해 팔만대장경을 조성한 시기이기도 했다. 이후 금속활자 인쇄술이 등장하면서 『직지심경』, 정확한 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 간행되기도 했다.

도자대장경

 

도자대장경(陶瓷大藏經)

근래, 대장경은 도자(陶瓷)로 승화했다. 조계종 종정 성파 스님은 2011년 통도사 서운암에 도자대장경을 안치해, 대장경 불사에 획기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팔만대장경을 본으로 도자에 글씨를 새긴 것이다. 자그마치 20년 걸렸단다. 

초벌구이한 도판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글을 새기고, 유약을 발라 1,200℃ 불에 구웠다. 성파 스님은 “재질이 도자이기에 당연히 불에 타지 않고, 녹지도 않습니다. 불경을 도자에 기록한 것은 불교사와 도자 역사에서 처음입니다”라고 설명한다. 해인사 목판본이 양면에 글씨를 새겨 8만 장이라면, 도자대장경은 한 면에만 새겨 경판이 16만 장에 이른다. 한 판의 무게가 4kg이 넘기에 대장경을 세우지 않고 눕혀 보관한다. 

통도사 서운암에 가면 천연염색 옷감들, 마당에 조성한 ‘반구대 암각화 연못’과 함께 도자대장경도 한번 둘러보길 바란다.   

통도사 서운암에 ‘도자대장경’이 안치돼 있다. 경판이 자그마치 16만 장에 이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