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에 이리저리 휘날리는 나뭇가지를 바라보며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저것은 나뭇가지가 움직이는 겁니까, 바람이 움직이는 겁니까?” 스승은 말했다. “무릇 움직이는 것은 나뭇가지도 아니고 바람도 아니며, 네 마음뿐이다.”
- 『육조단경』 중에서
고통도 행복도 모두 마음에서 온다. 산사는 예로부터 마음을 가라앉히는 수행 공간으로 기능해왔다. 이런 수행 전통이 천년 넘게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 이코모스(ICOMOS·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심사하는 세계유산위원회 자문기구)가 인정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아닐까.
• 양산 통도사 •
| 법당에 불상 하나 없는 사찰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울산역에 내려 택시로 30분가량 이동했다. 일주문 앞 주차장까지 편하게 갈 수 있지만, 통도사까지 이어지는 아름다운 숲길을 놓칠 수 없어 매표소 앞에서 내렸다. ‘무풍한송로(舞風寒松路)’라는 이름답게 키 큰 소나무 수천 그루가 춤을 추듯 구불거리며 흙길을 감싸고 있었다. 초여름의 싱그러움을 만끽하며 느릿느릿 걸었다.
숲길에 속세의 먼지를 털었으니 경내로 들어갈 시간이다. 아래 계곡이 흐르는 반달 모양의 반월교를 건너 일주문과 천왕문, 그리고 크고 작은 전각들을 지나 대웅전에 이르렀다. 참배하러 대웅전에 들어가려는데 꽃문양 창살 하나가 눈에 띄었다. 오랜 세월 사람들 손때가 묻고, 자연스럽게 빛바랜 창살이 꽃처럼 아름다웠다.
대웅전 안에는 법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상이 없었다. 부처님 진신사리(화장해 나온 뼈)가 모셔진 금강계단(金剛戒壇) 때문이다. 자장 율사가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얻은 진신사리를 금강계단에 봉안했고, ‘부처님=사리’라는 믿음으로 법당 안에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고. 통도사가 불지종가(佛之宗家), 불교 종갓집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아쉽게도 금강계단은 쉽게 만날 수 없는 존재였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통도사는 매달 음력 1~3일, 보름 등 특정 시기에만 금강계단의 문을 연다. 평소에는 대웅전 창 너머로만 볼 수 있다. 삼배 올리고 일어나려는데, 궁금증이 일었다. 천년 넘은 도량의 금강계단이 저렇게 깨끗할 수 있을까. 청소도 안 한다는데…. 법신의 위력이란다. 날짐승이 날지 않고 배설물을 누지 않는다는 말까지 전해질 정도다.
| 꺼지지 않은 불교 종갓집의 법등
통도사는 천년 넘게 꺼지지 않은 법등으로 불교 종갓집이라는 별칭을 더 특별하게 만들었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도 여기 있다. 대중들은 진신사리를 지키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았다. 고려 시대엔 왜적이 사리를 훔치려고 하자 몸에 숨겨 수도 개경까지 피신했던 주지 월송 대사, 임진왜란 때 약탈당한 사리를 극적으로 갖고 탈출한 백옥 거사(白玉 居士), 사리함을 두 개로 나눠 한 개는 통도사 금강계단에, 남은 한 개는 태백산 정암사에 봉안케 한 사명 대사…. 『목은집』과 「사바교주계단원류강요록(娑婆敎主戒壇源流綱要錄)」, ‘석가여래 영골사리 부도비(靈骨舍利浮圖碑)’에 실린 이야기들이다.
불교에 조금 관심 있는 사람들이라면 익히 듣거나, 어디선가 한 번쯤 들었다 싶을 스님들도 통도사 스님이다. 사격을 일신한 성해 스님, 불교중앙학림 학장으로서 승가 교육에 앞장서고 상해임시정부 군자금을 지원했던 구하 스님, ‘영축산 도인’이던 경봉 스님 등등. 천혜의 자연을 지켜온 스님들은 한국불교의 법등은 물론 통도사의 법등 역시 꺼지지 않게 보살폈던 셈이다.
가슴이 뜨거워졌다. 청량한 바람 한 줄기로 식혀본다. 코로나 여파로 줄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방문객이 적지 않다. 계곡물 흐르고 아름다운 꽃이 피며 푸른 나무가 우거진 정원 같은 산사. 거창한 마음 먹지 않아도 동네 마실 나가듯 놀러 갈 수 있는 산사. 진리로 향하는 문은 누구에게나 열려 있으니, 언제든 찾아와서 기도든 명상이든 산책이든 자신만의 방식으로 시간을 보내라고 말하는 듯하다. 일정 관계상 서둘러 둘러보느라 놓친 것들이 많다. 그 아쉬움이 언젠가 통도사로 다시 부를 것이다.
• 영주 부석사 •
| 극락 향하는 작은 순례길
고개를 빳빳이 세운 채 앞만 보며 산을 올랐다. 무량수전에 이를 때까지 절대 뒤돌아보지 말라는 말을 어디서 주워들은 탓이다. 뒤처지는 친구를 향해 잠깐 고개 돌리지도 못 해 허공에 대고 “잘 따라오고 있어?”라고 물었다. 가파른 오르막길에 숨이 차 헉헉대며 결국 우리는 무량수전에 다다랐다. “하나 둘 셋 하면 같이 돌아보는 거야. 하나 둘 셋!”
겨울방학에 내일로(한국철도공사에서 판매하는 패스형 철도 여행 상품) 기차여행을 하며 들렀던 부석사에 서린 추억이다. 그로부터 12년하고도 절반이 지났다. 모든 게 변했다. 겨울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달라졌고, 학생은 어느덧 직장인이 됐다. 부석사는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이 됐다. 모든 게 변했지만 모든 게 그대로인 천년 사찰 부석사. 무량수전에서 뒤돌아볼 전경이 여전히 가슴을 뛰게 할지…. 설렘을 안은 채 12년 전 그때처럼 청량리역에서 무궁화호를 타고 풍기역으로 향했다.
풍기역 근처 식당에서 묵밥으로 허기진 배를 채운 뒤 30여 분 차로 이동해 부석사 입구 주차장에 도착했다. 매표소를 지나자 양옆으로 푸른 은행나무 숲길이 펼쳐졌다. 늦가을이 되면 은행나무 잎이 모두 노랗게 물들어 마치 바닥에 금빛 카펫을 깐 듯한 장관이 펼쳐진다고 한다. 하지만 은행나무 숲길의 진가는 따로 있다. 부석사는 입구부터 천왕문이 나올 때까지 꽤 긴 진입로가 전개되고 천왕문에서부터 무량수전에 이르기까지 총 아홉 단의 석축을 올라야 한다. 아홉 단의 석축은 극락에 이르는 ‘구품만다라’를, 그 석축을 잇는 108개의 계단은 ‘백팔번뇌’를 상징한다. 그러니 입구부터 무량수전에 도달하는 길 자체가 백팔번뇌를 극복하고 극락에 이르는 순례 여정이다. 은행나무 숲길은 그 긴 여정의 시작이다. 운동화 끈을 동여매고 일주문을 향해 천천히 발걸음을 옮겼다.
| 번뇌 씻으며 한 계단 한 계단
‘태백산 부석사’. 일주문 현판에 쓰인 글자를 속으로 따라 읽고 고개를 갸우뚱했다. 부석사는 봉황산 중턱에 있는데 왜 현판에는 ‘태백산 부석사’라고 적힌 걸까? 봉황산이 태백산 줄기에 속해 그 일부로 볼 수도 있다는 설명을 듣고서야 산 이름에 집착하고 구분 지은 분별심을 반성했다. 천왕문에 다다르자 양쪽 사천왕이 눈을 부릅뜬 채 검문(?)을 시작한다. 움켜쥐었던 마음 내려놓으려는 노력을 알아줬는지 무사통과다. 천왕문을 지나면 108번뇌를 상징하는 108계단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아니나 다를까 곧 높다란 석축이 눈앞을 가로막는다. 석축 안에 담긴 천년의 세월에 압도돼 잠시 숨을 고른 후 번뇌를 씻으며 계단을 오르기 시작했다. 날개를 펼쳐 하늘로 날아갈 듯한 곡선미를 뽐내는 범종각 처마가 모습을 드러낸다. 나를 버리며 부처님 자비행을 되새기며 한 계단 한 계단 범종루를 올랐다. 정면에 안양문(安養門)이 조금만 더 힘내라는 듯 버티고 서있다. 문보다는 구멍에 가까울 정도로 좁은 출입문이다. 낮은 자세와 마음가짐으로 극락으로 가기 위한 마지막 관문을 통과했다.
산 아래 속세에서 한 발 한 발 극락에 오르는 여정의 끝은 어떤 모습일까. 무량수전 앞마당까지 올라오는 내내 앞으로만 향했던 몸을 180도 돌렸다. ‘하나 둘 셋!’ 소백산의 부드러운 능선이 물결처럼 곱게 겹쳐진 채 끝없이 펼쳐지고 그 위로는 흰 구름이 바다를 이루고 있다. 지나온 괴로운 길은 어느새 극락이 됐다. 벅찬 가슴을 안고 부석사 본전인 무량수전에 들어가 아미타불께 인사를 올렸다. 무량수전 내 아미타불은 특이하게 서쪽에 모셔져 남쪽이 아닌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정토를 주관하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짧은 명상으로 들뜬 마음을 가라앉힌 후 무량수전 앞마당으로 나왔다. 고려 시대 목조 건축의 백미로 꼽히는 무량수전. 가운데 부분이 불룩한 배흘림기둥, 날개를 펼친 학처럼 양 끝이 우아하게 올라간 처마를 찬찬히 마음에 담았다. 어느덧 이동할 시간이 왔다. 들어올 때 막지 않았듯 나갈 때도 잡지 않는다. 언제든 와서 심신을 충전하고 언제든 제 발로 나갈 수 있다. 아쉬움을 뒤로 하고 부석사를 나섰다.
• 안동 봉정사 •
| 108배로 시끄러운 마음 다스리며
부석사에서 차로 50분가량 이동해 안동 봉정사에 도착했다.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템플관’에 방을 하나 얻고, 급히 공양간으로 갔다. 산속에 편의점이나 매점이 있을 리 만무. 저녁공양 시간을 놓치면 다음 날 아침까지 굶어야 한다. 잡곡밥과 공양간 보살이 직접 캤다는 각종 나물, 간이 세지 않은 두부조림, 오신채를 넣지 않아 다소 낯선 맛이 나는 김치를 먹을 만큼만 덜어 꼭꼭 씹어 삼켰다. 배고플 때 언제든 원하는 음식을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속세에서와 달리 사찰에서는 정해진 시간에 극히 제한된 음식을 먹는다. 혀끝을 자극하는 산해진미를 탐하지 않고 자연이 주는 소박한 음식에 감사할 줄 아는 수행자의 소욕지족(少欲知足) 정신이 느껴졌다. 혀 대신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저녁예불을 위해 서둘러 자리를 옮겼다.
중생 구제의 원력을 담은 범종 소리가 웅장하면서도 은은하게 울려 퍼졌다. 33번째 범종 소리까지 듣자 마음속 번뇌가 씻겨 내려가는 듯했다. 비운 마음 그대로 간직한 채 대웅전에서 저녁 예불을 올렸다. 부처님처럼 마음이 넓어져야지, 지혜로워져야지 서원하면서. 내친김에 극락전으로 가서 108배를 시작했다. 잡념을 비우기 위한 기도였다. 불안, 걱정, 분노 등 감정을 동반하는 머릿속 모든 잡념을 눈앞에서 물건 치우듯 옆으로 밀어뒀다. 108배가 끝난 후 평소보다 고요해진 마음으로 해가 뉘엿뉘엿 지고 있는 산사를 돌아봤다. 풀벌레 소리와 새소리만이 적막한 공간을 채우고 있었다. 금세 어둠이 내렸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사에서는 해가 유독 빨리 진다. 신도들이 떠나고 인적이 끊기면 산사는 더 빠른 속도로 어둠 속에 빠져든다. 여기에 속세의 소음과 잡념이 끼어들 틈은 없다.
| 대지의 숨결, 강물의 핏줄, 태양의 자비…
새벽 3시 50분. 이른 시간임에도 거짓말처럼 눈이 번쩍 떠졌다. 평소보다 적게 먹고 일찍 잠자리에 든 덕인지 기도로 마음을 비운 덕인지 몸도 가벼웠다. 이번 기회에 도량석을 직접 체험해보기 위해 대웅전으로 향했다.
4시 정각. 청아한 목탁 소리가 캄캄한 새벽을 갈랐다. 합장한 채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스님 뒤를 묵묵히 쫓았다. 편안함과 위안을 안겨주는 목탁 소리. 그 소리에서 수행의 깊이가 느껴졌다. 이어 울리는 종송을 들으며 정신을 가다듬었다. 새벽예불을 마치고 대웅전을 나서니 어느새 날이 밝아오고 있었다. 방으로 돌아와 공양 시간부터 확인했다. ‘아침공양 6시 20분’. 평소였다면 한창 자고 있을 시간이지만 고픈 배를 움켜쥐고 설레는 마음으로 공양간으로 향했다. 나물과 미역국이 차려진 조촐한 밥상 앞에서 대지의 숨결, 강물의 핏줄, 태양의 자비와 바람의 손길을 생각했다. ‘밥을 먹게 해줘서 감사합니다.’
세계유산에 등재된 산사의 영문 명칭은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다. Temple(절) 대신 Monastery(수도원)를 붙인 이유는 수행하는 공간으로서의 산사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스님은 수행자이기 이전에 욕망이 있는 인간이다. 깨달음을 위해, 중생 제도를 위해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은 욕망, 좋은 옷을 입고 싶은 욕망, 더 자고 싶은 욕망 모두 꾹꾹 누를 뿐이다. 산사는 그런 공간이다. 지켜보는 사람 없어도 늘 한결같이 같은 시간에 도량석을 하고 예불을 올리고 기도를 드리며 마음을 다스리는. 남들보다 먼저 일어나 잠든 우리 모두를 깨우는. 그 마음 언제나 한결같길.
● 양산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영축산(靈鷲山)에 있는 사찰로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 율사가 창건했다. 자장 율사는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진신사리를 봉안해 금강계단을 세우고, 출가하고자 하는 이들이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도록 했다. 이후 통도사는 불교 계율의 근본도량이 됐다. 국보 제290호 금강계단은 통도사 창건의 정신적인 근거다.
● 영주 부석사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의상 대사가 왕명을 받아 세운 사찰로 경북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다. 창건 직후 의상 대사는 40일 동안 법회를 열어 화엄사상을 펼쳤고 이후 신라 화엄 근본도량으로 성장했다. 국보 제17호 무량수전 앞 석등, 국보 제18호 무량수전, 국보 제19호 조사당, 국보 제45호 소조여래좌상, 국보 제46호 조사당 벽화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바라보는 풍광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 안동 봉정사
경북 안동시 서후면 천등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로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 대사의 제자인 능인 대사가 창건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인 국보 제15호 극락전을 포함해 국보 311호 대웅전, 보물 제1614호 후불벽화, 보물 제1620호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등이 있다. 고려 태조와 공민왕이 자주 찾았고 1999년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다녀가기도 한 아름다운 사찰이다.
글. 허진
사진. 유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