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밥·공기, 당신과 함께하는 ‘바로 그것’_나태주
상태바
물·밥·공기, 당신과 함께하는 ‘바로 그것’_나태주
  • 정태겸
  • 승인 2020.10.1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 줌人 | 등단 50주년 맞은 시인 나태주

그의 시는 사랑스러웠다. ‘풀꽃’을 처음 읽으며 가슴이 먹먹해졌고, 나의 이야기를 써 준 것만 같은 ‘외로운 사람’을 읽으며 위로받았다. 나태주 시인을 마주하던 날, 심장이 요란하게 뛰었다.

 

사진. 유동영

 

| 나의 고향 서천, 나를 키운 공주

유난히 비가 많이 내리던 날이었다. 그칠 듯 좀처럼 그치지 않는 비를 뚫고 서울 남산의 ‘문학의 집 서울’로 향했다. 길가의 여린 풀 내음이 싱그러운 여름의 한 자락을 맑은 초록빛으로 물들이는 듯한 그런 날이었다. 나태주 시인은 올해 초 한국시인협회의 회장을 맡아 무척 바쁜 일정을 소화 중이었다. 그의 일정이 끝나기를 기다려 마주 앉았다. 구태여 손을 마주 잡고 인사를 나누지 않아도 따스한 온기가 전해지는 걸 느낄 수 있었다. 표정에서 그가 아름다운 낱말을 모아 시로 완성하는 사람이라는 게 보였다. 손으로 쓰는 문장이 아니라 입으로 조물조물 씹어서 뱉는 문구인데도 단어 선택이 남달랐다. 50년 넘도록 매일 시를 써 온 이의 언어는 그 자체로 시가 되는 것만 같았다.

그가 머무르는 것으로 알려진 공주의 풀꽃문학관이 그토록 유명해서일까. 많은 사람이 그의 고향을 공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서천이다. 공주에서 한 시간 남짓한 거리에 있는 곳. 나태주 시인은 그때 자신이 뛰어놀던 고향을 “아직 깨어나지 못한 순박한 곳”이라고 소개했다. 문물이라는 요소와는 거리가 먼, 지극히 농촌에 머물러 있던 고장. 그는 고향을 두고 ‘젊을 때는 절망을, 나이 들어서는 비애를 주는 곳’이라고 쓰기도 했다. 그런데도 ‘푸릇한 풀 내음을 담은 시가 돋아난 고장’이라며 자신을 시인으로 길러낸 어린 날의 서천을 이야기했다. 바다를 가진 땅이었어도 ‘산 너머 어딘가에 바다가 있겠지’라고 생각했을 만큼 바다보다는 천방산을 더 많이 바라보았다. 외가 마을과 친가 마을 사이의 시골길 20리(약 8km)를 걸어서 오가며 유년의 기억을 쌓으며 그는 자랐다.

서천을 떠나 공주로 향한 건 중학교를 졸업하고서였다.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공주사범학교로 들어갔다. 그 당시 공주는 신천지였다. 인생 최초의 ‘도시’였고 온갖 문물이 가득한 문명의 땅과 같았다.

“지금 서천과 공주 간의 차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차이가 있었어요. 공주는 인구 수로도 그렇고 문화적으로도 그렇고 선진적이었죠. 그래서 ‘선진 공주’라고 불렀어요. ‘개명 공주’라고도 했고. 내가 시를 써야겠다고 생각하게 만든 곳도 공주였지요. 연애편지를 써야겠는데 도무지 답답한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 길이 없더라고요. 그래서 시를 쓴 거였어요.”

그토록 서정적인 시를 쓰는 시인이 이 깊은 우물에 첫발을 들인 계기가 짝사랑하던 여자를 위해서였다니. 웃음이 나왔다. 마음 전할 길을 찾지 못해 가슴을 치며 시어를 고르던 순박한 학생의 모습이 너털웃음을 짓는 그의 얼굴에 오버랩됐다. 인생은 참 재미있구나. 그래서 그 연애는 성공하셨습니까? 물었더니, 그가 답했다. “그럴 리가요. 대차게 차였죠.”

 

| 고난과 결핍이 선물한 시

“시가 누군가를 좋아하고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여인을 좋아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시를 쓰기 시작했고, 그 여인에게 버림받고 나서 그 마음을 표현하려고 시인이 됐지요. 상처는 누구나 받아요. 질병에 고통을 받았고, 직장에서도 힘든 일을 겪었어요. 그 고난과 결핍의 상황들이 나에게 시를 선물했다고 말할 수 있죠.”

풍족했다면 시를 몰랐을 것이고 아프지 않았다면 시를 쓰지 않았을 거라는 말이다. 은은한 울림이 왔다.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 평생을 교직에 몸담은 교사로 살았다. 그의 생업이었다. 퇴임 직전에는 췌장암으로 오랜 기간 투병 생활도 했다. 그가 이야기한 고난의 상황은 일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났고, 때로는 몸과 마음을 말라붙게 할 만큼 각별했다. 시는 그 어려움을 이기려 애쓴 흔적이기도 하다. 2007년 오래 생업으로 삼았던 교직을 떠났다. 장기초등학교 교장을 마지막으로 퇴임했다. 그 뒤로 몇몇 직함에 이름을 올렸지만 스스로는 시인으로 충실하고자 했다.

그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가장 놀라웠던 건, 이게 가능할까 싶을 만큼 왕성한 창작활동이었다. 나태주 시인은 지금도 매일 시를 쓰고 있다고 했다. 그렇게 매일 써 모은 감성의 기록은 책으로 묶였고, 올해 상반기에만 총 11권의 책을 냈다. 한 달에 두 권씩 책을 낸 꼴이다. 하반기에도 아마 10권 넘게 나올 것 같다고, 그는 태연하게 얘기한다. 근면함을 이길 수 있는 건 없다는 걸 그는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나태주라는 이름 석 자가 들어간 시가 감명 깊었던 건 자연이나 생명에 관한 이야기가 서정적으로 잘 담겨 있어서였다. 그는 당연하다고 했다. 인간과 자연은 따로 떨어져서 살 수 없으니. 아무리 도시화하고 과학이 발전하며 인터넷이 빨라져도 자연을 거스를 수는 없는 법. 자연은 더불어 사는 공간이다. 풀꽃은 예쁘지도 화려하지도 않다. 누가 가꾸는 것도 아니지만, 그 자체로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그가 스스로 머무는 공간에 ‘풀꽃문학관’이라는 이름을 붙인 건 그래서다. 그의 시가 유명해서라기보다 자연이 가진 가치를 구현하는 문학관으로 만들고 싶었다. 나태주 시인은 그의 문학관이 화려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문학관이 되기를 소망한다.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당신에게 시는 어떤 존재입니까?” 그가 대답했다.

“처음에는 물이고 밥이고 공기였죠. 릴케가 ‘네가 바로 그것을 쓰지 않으면 죽을 것 같을 때 시를 써라’라고 했어요. 저에게 시는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였다고 생각해요. 지금도 그 생각은 비슷해요. 다만 거기서 끝나지 않고 다른 이를 살리는 무엇이 되기를 바랍니다. 나를 살리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다른 이에게 가서 그를 살리고 풍부하게 만들어주고 아름답게 해 주는 어떤 것, 그게 시가 되기를 바랍니다.”

‘팔로우 미(Follow me)’가 아니라 ‘위드 유(With you)’의 시대. 이제 시는 ‘너와 같이 함께하는 그 무언가’여야 한다고 나태주 시인은 강조한다.

 

| 자비심으로 쌓은 언어의 탑, 시

예전엔 자신만을 위해 시를 썼지만, 이제는 독자의 생각을 많이 한단다. 독자의 눈높이를 생각하고, 이 시를 읽을 독자의 반응을 생각하면서 쓴다. 처음에 독자는 유일하게 아내 한 사람이었지만, 이제는 아내 뒤에 있는 더 많은 사람을 본다. 보편성을 얻어야 문학도 생명을 가지고 비로소 의미를 찾는다. 이미 유미주의(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이를 추구하는 문예 사조)의 시대는 끝났다. ‘팔로우 미(Follow me)’가 아니라 ‘위드 유(With you)’인 것. 이제는 너와 같이 함께하는 그 무언가. 그것이 시가 되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시를 쓰는 시인으로 산다는 건 어쩌면 종교에 가까운 철학을 짧은 문장에 담아내는 게 아닐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그의 시 ‘풀꽃’은 존재론에 대한 물음이자 대답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간결하게 대답했다. 큰 철학이라고 할 만한 건 없다고. 하지만 시는 선해야 한다. 그게 그의 생각이다. 지금은 사람을 살리는 시를 요구하는 시대라고 그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게 어떤 의미인지 어렴풋이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어떤 면에서는 시가 불교 철학에 정신적 기반을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불교란 난초 화분의 이파리 하나가 살그머니 허공을 보듬어 안는 사상을 이야기한다고 생각해요. 부처님이 이야기하는 화두의 첫 번째는 자비심 아닙니까. 팔만대장경도 그 씨줄과 날줄 사이에 자비심이 관통하고 있다고 봅니다. 제 시 역시 자비심을 밑바탕에 두고 쌓아 올린 언어의 탑이에요.”

나태주라는 시인의 세계가 이제야 명징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듯했다. 그는 이제 마음의 찌꺼기를 털어내고 솔직하게 쓰고 싶다고 했다. 꾸며서 쓰는 게 아니고 외돌아서 뭔지 모르게 쓰는 게 아니라 ‘바로 그것’이라고 적확하게 쓰려고 한다며. 최근에 낸 산문집 『부디, 아프지 마라』가 바로 그렇게 쓴 책이다. 더불어 앞으로는 자신의 이야기를 모아서 책을 내고 싶다고 했다. 지나간 시간을 책에 담는다는 건 윤색된 채로 머릿속에 남은 기억을 세상에 내보내는 동시에 망각의 세계로 보내는 행위이기도 하다. 그럼으로써 자신을 텅 비워버리려 한다고 했다. 그가 담아낼 평생의 기록에 마음이 설렜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나태주니까. 그의 언어로 갈무리하는 그의 인생 이야기를 기다려 보기로 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