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에 용이 나르샤] 용이 떠받친 백제 불국왕토의 세계
상태바
[사찰에 용이 나르샤] 용이 떠받친 백제 불국왕토의 세계
  • 조경철
  • 승인 2023.12.26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용
백제 금동대향로(국보),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및 제공
향로는 아래부터 받침의 용, 몸체의 연꽃, 뚜껑의 겹겹이 쌓인 산, 꼭대기의 봉황으로 이어진다. 

금동대향로의 발견

백제의 멸망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이를테면 ‘의자왕’과 ‘삼천궁녀’ 같은 것들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릴 것이다. 후대는 멸망의 역사로 백제의 역사를 평가했다. 모든 나라는 멸망한다. 멸망이 아름다운(?) 나라가 있었을까? 

나라에 대한 평가는 멸망이 아닌 그 나라가 해낸 역사에 대해 평가해야 한다. 백제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그 누구도 해내지 못했던 일들을 해냈다. 백제 칠지도(七支刀)에는 “先世以來 未有此刀(선세이래 미유차도)”, 즉 ‘역사 이래 이런 칼은 없었다’라는 자부심 넘치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이후 백제는 가운데 보살이 들어간 태안마애삼존불상, 앉아 있는 미륵보살을 한쪽에 배치한 서산마애삼존불상, 미륵의 삼회설법을 상징해 탑을 세 개 세운 익산 미륵사, 불교를 중심으로 유교와 도교가 어우러진 유불도 삼교의 백제금동대향로 등을 만들어냈다. 역사 이래 이런 삼존상, 이런 절, 이런 향로가 없었다고 할 만큼 많은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작품들이었다.

나라가 건국되면 이전 나라의 역사와 문화는 새 나라로 계승된다. 그런데 어떤 경우는 역사를 훌쩍 뛰어넘어 우리 앞에 나타나기도 한다. 

660년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했다. 계백의 5,000 결사대가 막아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적군이 사비도성에 가까워지자 동쪽 도성 밖 왕릉의 명복을 빌던 능사도 바빠졌다. 미처 챙기지 못한 물건들은 급하게 땅에 묻었다. 다시 돌아올 날을 기다리며.

1993년 12월 12일 왕릉 옆 주차장을 만들기 전에 실시한 발굴이 막바지에 접어든 날이었다. 쌩쌩 부는 찬바람을 맞으며 마지막 발굴의 손을 놓으려는 순간 뭔가 나타났다. 향로였다.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1,333년 만에 우리 앞에 나타났다. 신라, 고려, 조선도 아닌 대한민국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에게는 행운 중의 행운이 아닐 수 없다.

향로가 발견되자 말 그대로 전국이 떠들썩했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높이 61.8cm, 무게 11.8kg의 거대한 크기뿐 아니라 구성요소 각각의 조각 솜씨가 일품이었다. 처음 사람들의 눈을 사로잡았던 것은 받침의 용과 꼭대기의 봉황이었다. 그래서 처음 붙여진 이름이 ‘금동용봉향로’였다.

 

무엇을 표현했을까?

금동대향로는 아래부터 받침의 용, 몸체의 연꽃, 뚜껑의 산, 꼭대기의 봉황으로 이어진다. 연꽃을 불교의 의미로, 산을 신선이 사는 방장산으로, 향로의 사상적 배경을 불교와 도교로 보고 있다. 절에서 사용된 향로이기에 연꽃의 의미를 강조하면 산도 불교적 의미의 수미산으로 볼 수도 있다. 경전에 보면 수미산 위에 봉황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용도 불법을 지키는 호국룡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금동대향로 전체를 불교적 측면에서 해석할 수도 있다.

물론 도교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뚜껑의 산은 방장산이고 산속의 인물들은 선인(仙人)이다. 용과 봉황은 신선이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동물이기도 하다. 연꽃은 신선 세계에 피는 꽃이기도 하다. 

유교적 해석은 안 될까. 산을 잘 살펴보면 정상 못 미쳐 5개의 산이 있고 정상에 또 3개의 봉우리가 있다. 그래서 유교의 산천제의(山川祭儀)인 3산(山) 5악(岳)과 연결하기도 한다. 그 5악 위에 위치한 5명의 악사가 연주하는 음악도 유교의 예악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서경』에 보면 ‘소소(簫韶)’라는 음악을 연주하자 하늘에서 봉황이 날아왔다는 기록도 있다. 향로의 5악사는 중국 향로에는 보이지 않는 요소로 향로가 백제에서 만들어졌다는 유력한 증거이기도 하다. 이처럼 용-연꽃-산[5악사]-봉황으로 이어지는 백제대향로는 보는 사람에 따라 불교, 도교, 유교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복잡한 향로의 사상적 배경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선 향로의 제작 동기와 제작 시기를 특정하는 방법도 있다. 향로는 신라와 싸우고 있는 아들 창(훗날 위덕왕)을 격려하려고 가는 도중 신라군의 매복에 걸려 죽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들었다. 즉 성왕의 3년상 기간에 만든 향로다. 따라서 아들 위덕왕이 아버지를 위해 만든 향로에는 백제 성왕이 꿈꾸고자 했던 이상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백제 금동대향로 받침의 용,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및 제공
용은 하늘을 향해 목을 들어 올리고, 힘차게 연꽃을 뿜어내고 있다.

용, 향로를 받치다

백제 성왕은 유불 정치 이념을 통해 불교와 유교가 어우러진 이상 국가를 만들고자 했다. 인도에서 귀국한 겸익과 함께 범어 율장을 번역하고 불성을 강조하는 『열반경』에 대한 연구에 집중했다. 시와 예에 밝은 중국의 모시박사 육후를 초빙해 유교식 제도 정비를 꾀하기도 했다. 

“보천지하(普天之下) 일체중생(一切衆生) 
 개몽해탈(皆蒙解脫)”

백제 성왕이 불상을 만들어 일본에 보내면서 발원한 글인데, 『일본서기』에 실려 있다. “하늘 아래 모든 중생들이 모두 해탈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이다. 이 문구는 『시경』의 “보천지하 막비왕토 솔토지민 막비왕신(普天之下 莫非王土 率土之民 莫非王臣, 하늘 아래 왕의 땅 아닌 곳 없고 땅끝까지 왕의 신하 아닌 사람 없다)”이란 구절과 『열반경』의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일체중생이 불성을 갖고 있다)”이 융합돼 만들어진 것이다.
성왕이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여 이루려고 했던 나라는 모든 중생이 성불하는 불교의 ‘불국토(佛國土)’와 그 나라의 땅과 신민이 성왕에 의해 다스려지는 유교의 ‘왕토(王土)’가 어우러진 불국왕토(佛國王土)의 세계였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사상적 배경을 언급하면서 연꽃, 산[5악사], 봉황에 비해 덜 언급된 부분이 받침의 용이다. 용은 불교의 호국룡, 신선을 태우는 용, 주역 건괘의 용 등으로 언급되지만 특별히 어떤 사상으로 규정하기가 어렵다. 향로의 용도 마찬가지다.

백제대향로는 정적이면서 동적인 아름다움을 준다. 용은 마치 바닷속에서 물결을 헤치고 솟아오르듯 하다. 하늘을 향해 솟구친 목의 입에서 힘차게 연 줄기를 뿜어내고 있다. 용의 입에서 나온 연 줄기에서 연꽃이 사방으로 펼쳐진다. 연꽃에서 다시 삼라만상을 품은 산이 솟아난다. 산 정상의 5악사가 음악을 연주하자 봉황이 날아온다. 봉황은 태평성대를 상징한다.

백제의 용은 무덤에도 보인다. 사신도는 고구려가 유명하지만, 공주 왕릉원의 송산리 6호분에도 사신도가 보이고 동쪽에 청룡이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탁은잔과 칼에도 용이 새겨져 있다. 부여에서 출토된 벽돌에도 용 문양이 있다. 고창과 나주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에도 용이 새겨져 있다.

용은 왕을 상징하기도 한다. 잠룡(潛龍)은 장차 왕이 될 인물을 말한다. 선화공주와의 사랑으로 유명한 서동은 연못에 사는 용의 아들이었다. 백마강에는 용이 살고 있는데 백제 멸망 때 소정방이 낚아 죽였다고 한다. 나라의 멸망을 용의 죽음과 관련짓고 있다. 

백제가 처음 자리 잡았던 한강에도 용이 살고 있었다. 기루왕 때는 2마리의 용이 한강에 나타났다고 한다. 

용에서 시작된 변화가 봉황으로 마무리되는데 이 일련의 과정은 기-승-전–결의 구조와 비슷하다. 용이 일으키고 연꽃이 이어받아 산의 5악사가 봉황을 불러내 완결하는 구조다. 기승전결의 구조에 역동성을 불어넣은 건 전변(轉變)과 화생(化生)이다. 용이 연꽃을 뿜어내는 ‘용전변’, 연꽃에서 산이 솟아나는 ‘연화생’, 5악이 봉황을 불러내는 ‘악전변’의 구조다.  

용은 연꽃을 뿜어내고 지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과 5악사 봉황까지 뿜어내고 힘이 남을 정도로 힘찬 모습이다. 3개의 다리로 지탱하고 있고 1개의 다리는 하늘로 올려 여유로움까지 보인다.

중국에서 불교, 유교, 도교 등 여러 외래문화를 들여왔지만 백제는 이를 자신의 역사와 풍토에 맞게 적용했다. 백제불교만의 특징이 보이는 태안과 서산의 마애삼존불상을 만들고 향로에 음악과 봉황을 연결시켜 유교의 예악을 접목했다. 도교는 받아들였지만 도사를 두지 않은 것은 백제의 특징이기도 하다.

향로에는 특정 사상이 아니라 불교, 유교, 도교 삼교가 어우러져 있다. 향로에서 삼교의 융합이 빛을 발하는 것은 받침의 용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백제 성왕이 꿈꿨던 불국왕토의 세계를 용이 떠받치고 있다. 용은 백제의 왕이고, 백제 자체이고, 백제의 힘이다. 삼교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백제의 용이 받치고 있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당당하게 하늘로 솟구치고 있는 금동대향로의 용은 6세기 백제의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성왕은 죽었지만 성왕의 꿈은 금동대향로로 다시 살아났다. 백제는 멸망했지만 향로는 다시 나타났다. 향로의 용은 여전히 꿋꿋하게 우리를 받쳐주고 있다. 우리의 꿈을 뿜어내고 있다.  

 

조경철
연세대 사학과 객원교수,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연세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2013년 한국연구재단이 조사한 한국사 분야 학술지 인용지수 2위를 차지했다. 저서로는 『백제불교사연구』, 『나만의 한국사』 등이 있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역사를 바라보려고 노력 중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