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茶와 선시禪詩
상태바
[산사에서 차차차茶茶茶] 茶와 선시禪詩
  • 동명 스님
  • 승인 2023.04.26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와 시는 최고의 풍류風流

출가하기 위해 은사스님이 소개한 대로 해인사 강주 법진 스님을 찾았을 때 강주스님이 내게 말했다. “출가는 일생에 한번 해볼 만한 참으로 훌륭한 일입니다. 그러나 출가하면 잔재미는 없습니다. 세속인에게는 가족들과 오순도순 만들어 가는 소소한 재미가 있지만, 출가자에게 그런 것은 없습니다. 그래도 괜찮겠죠?”

잔재미에 대한 기대는 추호도 없었지만, 그 말씀은 전혀 예상치 못한 것이었기에 기억에 남는다. 그런데 출가한 내게도 잔재미가 쏠쏠하게 있었으니, 그것은 차 마시는 것이었다. 불광사에서 살 때 옆방 스님들과 차 한잔 마시면서 담소 나누는 것이 참 좋았고, 동명사에서는 아침 공양 후 대중스님들이 모두 모여 차 한잔하는 맛이 기가 막혔다. 중앙승가대에서 입승 소임을 볼 때도 도반스님들이나 아랫반 스님들이 찾아오면 차 한잔 대접하며 담소 나누는 것이 더없는 재미였다. 차 마시는 것은 술 마시는 것처럼 2차, 3차 이어가지는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지만, 동국대 선학과에서 종강 모임을 한 후에는 장소를 바꿔가며 3차까지 차를 마신 적도 있다. 그러나 옛 선사들이 차를 소재로 쓴 시를 보니, 선사들에게 차는 단순한 잔재미가 아니라 엄청난 풍류요, 필수적인 화두였으며,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아름다움이었고, 무엇보다도 시였다. 금강선원의 혜거 스님은 영가현각(永嘉玄覺, 665~713) 스님의 『영가집』을 강의하면서 “세상의 그 어떤 것도 시를 따라갈 풍류는 없다”라고 말했다. 옛 선사들의 시를 읽으니, 차가 있는 곳에 시가 있었고, 시가 있는 곳에 차가 있었다.

 

다반사(茶飯事)가 도(道)

다반사라는 말이 있다. 중국은 물이 좋지 않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맹물을 그냥 마실 수 없어 늘 차를 마셨다. 중국인들에게는 차를 마시는 것이 밥 먹는 것보다 더 일상적인 일이었다. 그래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것처럼 ‘늘 예사로 있는 보통 일’이라는 뜻에서 다반사(茶飯事) 또는 항다반사(恒茶飯事)라는 말이 생겼다.

중국인들에게 차를 마시는 것은 특별한 낭만은 아니었을 텐데, 당나라의 노동(盧仝, 795?~835?) 같은 시인은 차를 특별히 좋아하여 「칠완다가(七碗茶歌)」 같은 차 예찬가를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차에 관한 선시는 우리나라에서 더욱 크게 꽃피었으니, 우리 선사들에게는 차야말로 시와 더불어 최고의 풍류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차를 자주 마시지 않는다는 점에서 ‘늘 예사로 있는 보통 일’이라는 의미의 다반사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지만, 선승들에게는 차가 일상이었다. 

새벽에는 한 국자의 죽
점심에는 한 그릇의 밥
갈증엔 석 잔의 차 마시면 그뿐
깨닫거나 말거나 관여치 않는다오
寅漿飫一杓 午飯飽一 渴來茶三椀 不管會有無
- 복암충지(宓庵冲止, 1226~1292), 「한 선자에게 답하다(有一禪者答云)」

“어떻게 하면 깨달을 수 있습니까?”라는 한 수행자의 질문에 대한 충지 스님의 대답이 바로 위 시이다. 얼마나 간단한가? 아침에는 죽을 먹고, 점심에는 밥을 먹으며, 갈증 나면 석 잔의 차를 마신다. 그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마조 스님의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를 그야말로 쉽고 간명한 시로 표현한 것인데, 평상심보다 더욱 평범한 다반사(茶飯事)가 바로 도라고 답한 것이다. 또 충지 스님은, 산중에서 하는 일이 무어냐고 묻는다면, “한 발우 나물에 한 사발 차라고 대답하리”(「한시랑이 내가 조계의 법통을 이었다는 소식을 듣고 시를 보내 축하하기에 차운하여 답하다(韓侍郞 聞予嗣席曹溪 以詩寄賀 次韻答之)」)라고 말한다. ‘한 발우 나물’은 소박한 식사를 말하고, 그 소박한 식사에 약간의 호사를 누리는 것이 ‘한 사발 차’이다. 차를 마시는 것만 일상인 것이 아니었다. 차를 심고 만드는 것도 일상이었다. “동자는 땔나무를 지고 와 햇고사리를 삶고/ 노승은 삽을 들어 햇차를”(백곡처능, 「봄날에 임 대사에게 보내다(春日寄林師)」) 심어서, “아무도 부른 사람 없건만/ 보살들이 찾아와서 산차를 따고”(나옹혜근, 「차를 따다(摘茶)」), “비 막 갠 곡우 날에 따낸/ 펴지지 않은 노란 차 싹을/ 빈 솥에 정성껏 덖어내어/ 밀실에서 잘 말려서”(범해각안, 「초의차(草衣茶)」) 죽순잎으로 깔끔하게 포장하면, 향기로운 차가 완성된다. 선사들은 이처럼 차를 마시는 것뿐만 아니라 차를 만드는 것도 일상이었다. 이것들이 모두 수행의 과정이었음은 물론이고, 충지 스님의 시에서처럼 깨닫거나 말거나 차를 만들고 마시는 일상생활만으로도 충분한 수행이라는 것이 선사들의 마음이었다. 

 

차와 선정 사이, 차와 우정 사이

그러나 차 마시는 것이 수행에 직접적인 도움이 된다고 노래하는 선시도 많다. 차는 각성 효과가 있어서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 그래서 알아차림이 중심인 참선 수행에 차는 큰 도움이 된다. 

시냇가에서 뜯은 푸성귀 천천히 익히고
자고 일어나면 진하게 차를 달인다네
참선하는 마음 물처럼 맑은데
항하사 같은 경전 어이 읽으리
嬾煮澗邊蔌 濃煎睡後茶 禪心淸似水 不必誦恒沙
- 백암성총(栢庵性聰, 1631~1700), 「숨어 살면서(幽居)」에서

선사는 시냇가에서 뜯은 푸성귀를 천천히 익혀 식사하고, 낮잠 한숨 자고 일어나 머리가 맑아지지 않으면 진한 차를 달여 마신다. 차를 마시고 나서 참선하면 마음이 물처럼 맑은데, 마음이 맑아짐으로써 수행은 이미 끝인 것을, 굳이 갠지스강의 모래알처럼 많은 경을 읽을 필요 없다고 말한다. “한 병의 물에 한 냄비의 차”만 있으면, 목마르면 손수 차를 끓여 마시고, “대지팡이 하나에 부들방석 하나/ 걸어가도 선이요 앉아서도 선”(복암충지, 「산중의 즐거움(山中樂)」)인 것이다.

차를 달여 좋은 손 부르고
게송 읊어서 선승을 맞네
선정에서 나와 새 눈 보고
경행하며 작은 지팡이 드네
세상 그물 벗어난 이후로
일 벌임이 점차 한가롭네
煎茶邀好客 說偈迓禪僧 出看新雪 經行擔小藤 自從逃世網 生事轉騰騰
- 설잠(雪岑) 김시습(金時習, 1435~1493), 「한가한 뜻(閑意)」에서

설잠 스님이 차를 달이는 이유는 좋은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서다. 선승에게 좋은 손님이란 수행에 도움이 되는 이, 곧 수행력을 갖춘 다른 선승일 것이다. 차와 게송을 통해 좋은 도반을 만나 선정수행에 몰두하고, 선정에 들어 있는 동안 새하얗게 쌓인 눈을 경이롭게 바라보면서 작은 지팡이 들고 경행을 함께한다. 얼마나 아름다운 도반인가? 이렇듯 차와 시와 도반은 세상 번뇌의 그물을 벗어나게 하여 선승들로 하여금 지극히 한가로운 경지를 선사한다.

옛 선사들이 도반들과 나누어 마시는 차는 내가 도반들과 함께 차를 마시면서 느끼는 잔재미와는 다른 것이었다. 그것은 선정을 위한 것이었으며, 세상의 그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으니, 잔재미가 아니라 오히려 측량할 수 없는 큰 환희가 아니었을까?

그럼에도 차는 벗을 만나 한잔할 때 제맛이다. 차를 통해 벗을 만나는 선사들의 모습에서 나는 동질감을 느낀다. 

살살살살 산비가 봉우리 적시니
선미(禪味)가 궁금하여 그립기 그지없네
언제 선정에서 나오면 찾아가서
차 달이며 달빛 아래 마음 나눌까
山雨絲絲濕翠嵐 未詢禪味戀難堪 何當出携笻去 煮茗相傾月下談
- 허응보우(虛應普雨, 1509?~1565), 「숭선사의 시에 차운하여(次嵩師韻)」

보우 스님은 산비가 봉우리 적시자 숭선사의 선미(禪味)가 몹시 궁금하다. “선정에서 깨면 우리 선문답이나 나눕시다”라고 약속했는데, 숭선사는 좀체 선정에서 나오지 않는다. 숭선사가 선정에서 나오면 바로 달려가야지. 가서 달빛 아래 차 달이며, 담소 나눌 생각을 하니 보우 스님은 벌써부터 즐거워진다.

보우 스님의 차담도 선사의 선미가 궁금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니 잔재미를 위한 차담과는 차원이 다르다. 더욱이 달빛 아래 마음을 나눈다니 예사 풍류로는 범접하기 어렵다. 아마도 정자나 마루에서 차를 마시지 않을까 싶은데, 차를 따르면 찻잔에 달빛이 사뿐히 내려앉는다. 그 달빛을 마음속으로 부어 넣는 두 선사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푸근하기 그지없다.

보우 스님은 다른 시에서 “물 길어 차 달이니 달빛이 솥에 가득하다”(「달밤에 소쩍새 울음을 듣고(月夜聞子規)」)라고도 노래했다. 그것은 또 다른 시에서 표현한 “우주를 소요하는 흥취”(「흥에 겨워(遺興)」)이다. 옛 선사들이 나처럼 잔재미 찾는 것 보고 동질감을 느껴볼까 했는데, 선사들의 잔재미는 역시 잔재미는 잔재미되 차원이 다르다.

그런 가운데에도 범해각안 스님이 도반과 함께 차를 마시는 마음은 소박해서 정겹다. 마음을 고요히 하고자 머무른 한적한 산사에서 차와 약초로 노병을 이겨내고 있는데, 어느 날 “높은 벗 찾아와 여름 결제하니/ 사는 일이 비로소 달콤하구나”(「만일암(挽日庵)」)라고 노래한다.

나의 차담은 대체로 그런 것이었던 것 같다. 북한산 중흥사에서 살 적에 사찰을 방문하는 지인들과 차를 마시다 보면 토요일 오후가 훌쩍 날아갈 때가 있는데, 차를 마시는 것으로 하여 사는 일이 비로소 달콤해졌는지 모르겠다. 그런 달콤함에는 아쉬움이 남게 마련이다. 무경자수 스님은 오랜만에 온 옛 벗이 차 한잔 기울이고는 훌쩍 떠나니 “이별의 한만 아득하여라(別恨更悠㦲)”(「오언봉요체를 옛 벗에게 주다(五言䗦腰體贈故人)」)라고 노래했다. 스님들도 목석이 아닌 이상, “어느 누구든 여기 와서 이 자리에 마주 앉아/ 같이 차를 달여 마시면 또한 싫지 않을 텐데(誰人到此同襟席 共點茗茶也未嫌)”(풍계명찰, 「묘경 스님이 지은 시의 운을 따서(次妙瓊)」) 하는 마음도 있는 것이다. 

 

진정한 풍류가 차와 시에 있다

차담의 진정한 멋은 풍류에 있다. 풍류는 폭소를 터뜨리는 즐거움도 아니요 왁자지껄하고 소란스럽고 정신 줄을 놓게 하는 기쁨도 아니다. 가령 이런 것이다. 

꾀꼬리 소리 물 흐르듯 간간이 들리고 
제비는 연못 오르내리는데
한 잔의 맑은 차 마시며 몇 수의 시를 짓노라
손님이 오지 않아도 봄은 절로 가는데
주렴 가득한 비바람이 찻잔에 떨어지누나
流鶯間囀燕差池 一盌淸茶數首詩 外客不來春自去 滿簾風雨落茶
- 백암성총(栢庵性聰), 「봄을 보내며(送春)」

꾀꼬리 소리가 물소리처럼 간간이 들리는데, 제비는 연못을 오르내리고 있다. 그 모습을 앞에 두고 선사는 차를 마시면서 시를 짓는다. 이런 선사에게는 차를 함께 마셔줄 손님이 필요하지 않다. 홀로 마셔도 홀로 마시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꾀꼬리가 선사의 벗이고, 제비가 선사의 벗이다. 아니, 봄이 온통 선사의 벗이다. 빗방울이 주렴에 가득 맺혔다가 찻잔에 떨어지기도 한 날, 선사는 풍류의 꽃이라고 하는 시를 짓는다. 봄이 떠나가면서 꽃잎을 떨어뜨리고 간 것인데, 그 꽃잎이 선사의 붓끝에서 되살아나는 순간. 선사의 찻잔은 여전히 꽃 빛이며, 선사는 혼자서 우주를 벗으로 삼는다.

차와 시의 우주적인 풍류 앞에서 나는 기껏 차 마시는 것의 잔재미를 논했다. 부끄럽지만, 낮은 품격을 한꺼번에 올릴 수는 없다. 그래도 선시에 담긴 차 맛을 천천히 음미해보니 차에 잔재미를 넘어선 참맛이 있음을 가슴 깊이 확신할 수는 있겠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배고플 때 밥 먹으면 밥이 더 맛있고/ 잠 깨어 차 마시면 차가 더 감미롭다”(복암충지, 「한가한 중에 우연히 쓰다(閒中偶書)」)는 평범한 듯 비범한 진리 “다반사가 곧 도다!”를 다시 한번 새겨본다. 

 

동명 스님
북한산 중흥사 총무, 중앙승가대 수행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광명시 금강정사에서 총무 소임을 맡고 있다. 출가 전 『해가 지지 않는 쟁기질』, 『나무 물고기』, 『벼랑 위의 사랑』 등의 시집과 기행 산문 『인도 신화 기행』, 『나는 인도에서 붓다를 만났다』 등을 펴냈으며, 출가 후 『조용히 솔바람 소리를 듣는 것』, 『불교 기도문』을 펴냈다. 1994년 제13회 김수영문학상과 2022년 제13회 대원불교문화상을 수상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